2014년 2월 13일 목요일

기록으로 보는 교복의 변천

중학교 때까지 교복(校服)을 입었던 것 같은데요.
고등학교 들어서면서 교복이 없어진 것 같고요.
고등학교 때 교련(敎鍊)도 배웠던 것 같은데
지금은 세월이 흘러서 가물가물 하네요.


기록으로 보는 교복의 변천
- 국가기록원, 
  2014년 2월 ‘이달의 기록’ 서비스 -


           안전행정부    등록일   2014-02-13



2월은 대부분의 초·중·고등학교가 
졸업식을 거행하고,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교복과 학용품 등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1981년 교복자율화 조치 이전까지 
중·고교생은 교복을 의무적으로 입었었다. 
1985년 교복자율화 조치가 일부 보완되어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교복 디자인을 
결정하게 되자 ‘패션’과 ‘개성’이 가미된 
다양한 교복이 등장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상급학교 진학과 새학년 진급 준비기간인 
2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기록으로 보는 교복의 변천‘ 으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2월 14일(금)부터 국가기록원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문서 2건, 
동영상 5건, 사진 14건 등 총 21건으로, 
1950~90년대 중·고등학생 교복의 
변천과정을 담고 있다.

1950년대에서 1980년대 초까지 
중·고등학생은 교복을 의무적으로 입어야 했다. 
특히, 1968년 ‘중학교 무시험진학제도’에 따른 
평준화정책으로 중학생 교복 디자인이 
시·도별로 통일되기 시작했다. 

여학생 교복은 여름에는 윙칼라 블라우스에 
감색이나 검정색 플레어스커트를, 
겨울에는 감색이나 검정색 상·하의를 
주로 입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 1966년 과학전람회 시상식에 
참석한 여학생의 바지교복이 이채롭다.

남학생 교복은 학교별로 하복과 
동복의 색을 구분하여 입었는데, 
겨울에는 검정색 스탠드칼라, 
여름에는 회색 교복을 주로 입었다. 
남녀 학생의 교복 디자인과 색상이 
대동소이했던 것을 당시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다.

1981년 학생들의 개성과 
미적 품성 함양을 위해 
교복자율화 조치가 발표되면서 
학생들은 교복에서 벗어나 
자유복을 입게 되었다.

1981년 중·고등학생 교복제도 
개선 내용을 담은 대통령 문서, 
1982년 교복자율화 시범학교 학생들의 
자유복 차림의 등교 모습과 
1983년 마지막 교복세대 졸업식 
모습 등을 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또한, 교복자율화로 
청소년들의 유흥업소 출입, 
복장의 사치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캠페인이 전개되기도 했다. 
신문·방송·잡지를 활용하고, 
홍보영화·포스터 등을 제작하여 
청소년들의 건전의식을 계도하고자 했던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추억 속으로 사라질 것만 같던 
교복은 청소년들의 탈선, 학생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1985년 교복자율화 
보완조치와 함께 다시 부활하였다.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된 교복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교복이 등장하였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교복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기록을 통해 학창시절의 추억을 
되돌아보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담당 : 국가기록원 김영지(042-481-6376)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