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21일 화요일

2024년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

2024년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5-01-22

[참고]
2024년 3분기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은

2023년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은


□ 2024년중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외환거래*(현물환 및 외환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689.6억달러로 
전년(659.6억달러) 대비 
30.1억달러(+4.6%) 증가

* 일평균 매입 및 매도거래 규모의 합계

o현물환(256.7억달러, -1.3억달러) 거래규모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외환파생상품(432.9억달러, +31.4억달러) 
  거래 규모가 증가







2024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

2024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

       한국은행         등록일   2025-01-21

[참고]
2024년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 생산자물가지수
□ 2024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공산품(0.3%) 및 농림수산품(2.8%) 등이 올라 
전월대비 0.3% 상승
(전년동월대비 1.7% 상승)

2. 국내공급물가지수
□ 2024년 12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1.7%), 중간재(0.5%) 및 
최종재(0.7%)가 모두 올라 
전월대비 0.6% 상승
(전년동월대비 2.6% 상승)

3. 총산출물가지수
2024년 12월 총산출물가지수는 
공산품(1.0%) 및 
농림수산품(2.8%) 등이 모두 올라 
전월대비 0.8% 상승
(전년동월대비 3.7% 상승)

□2024년 총산출물가지수는 
전년대비 2.7% 상승

















2025년 1월 21일 화요일 증시현항

2025년 1월 21일 화요일 증시현항

[참고]
2025년 1월 20일 월요일 증시현황은
















2025년 1월 21일(화), 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2025년 1월 21일(화), 
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한국거래소      등록일 : 2025년 1월 21일 

[참고]
2025년 1월 21일(화), 
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 금융위원장 김병환 축사는

IPO 제도 개선방안은

상장폐지 제도 개선방안은


2025년 1월 21일(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은 “지속적인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자본시장 밸류업의 일관된 추진을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이 공동으로 마련한 
「IPO 제도개선 방안」과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2025년 1월 21일(화), 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금융위원장 김병환 축사

2025년 1월 21일(화), 
주식시장의 질적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 금융위원장 김병환 축사 

       한국거래소      등록일 : 2025년 1월 21일 







IPO 제도 개선방안

IPO 제도 개선방안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1-21

[참고]
2023년 4월 17일(월), 
2023년 제2차 자본시장 릴레이 
세미나 개최와 
한국거래소 이사장 손병두 축사는

2023년 6월 26일(월) 시행 예정인 
신규상장일 가격 결정방법 개선을 위한 
업무규정 시행세칙 개정은

2019년 9월 26일,
모험자본 활성화를 위한 자본시장 간담회 개최
- 기업성장투자기구(BDC)제도 도입방안
- 사모.소액공모 활성화 방안은

기업 상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합리화 방안은

I. 제도개요 및 개선경과
II. 현황 및 문제점
III. 제도개선 방향
IV. 제도개선 방안
1.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확대    
2. 수요예측 참여자격·방법 합리화
3. 주관사 역할·책임 강화
V. 추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