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25일 월요일

노터스(278650), 코스닥 신규상장(2019년 11월 27일)

노터스(278650),
코스닥 신규상장(2019년 11월 27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19-11-25

노터스 개요


티에스아이, 케이비제20호스팩,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접수

티에스아이, 케이비제20호스팩,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접수

     한국거래소        등록일   2019-11-25



유엑스엔(337840) 코넥스 신규상장(2019년 11월 28일), 진코스텍(250030), 코넥스 신규상장(2019년 11월 29일)11월 29일)

유엑스엔(337840),
코넥스 신규상장(2019년 11월 28일),
진코스텍(250030),
코넥스 신규상장(2019년 11월 29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19-11-25

유엑스엔 개요
진코스텍 개요

센트랄모텍 신규상장에 상한가 및 SK바이오랜드, 옴니시스템, 티움바이오, 상한가(2019년 11월 25일 증시현황)

2019년 11월 25일 월요일 증시는
외국인들이 거래소에서 약 2,600억원을
매도하며, 2019년 11월 7일 이후 하루도
빠짐없이 매도를 하고 있고요.

거래소는 센트럴모텍(308170) 신규상장
상한가 마감
코스닥은 SK바이오랜드(052260),
옴니시스템(057540), 티움바이오(321550)가
상한가로 마감했네요.
하한가 종목은 없고요.

IMF 연구보고서, 미-중 무역협상 타결시 한국 등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관련

IMF 연구보고서
「미․중 무역협상 타결시
한국 등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관련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9-11-20


[ 보고서 주요 내용 ]

□ 2019.11.19.(미국 현지 시간) 발간된
국제통화기금(IMF)의 연구보고서(Working Paper)*에서

* IMF Working Paper는 저자의 견해로 IMF의 공식 입장이 아님
* IMF WP/19/251, 「Managed Trade:
  What Could be Possible Spillover Effects of a
  Potential Trade Agreement Between the U.S. and China?」

ㅇ 美․中 무역협상이 관리무역*의 형태로 타결시,
   중국의 미국 제품 수입 확대를 위한 무역전환 효과
   (trade diversion)로 한국․EU․일본 등의 수출이
   큰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 관리무역(managed trade): 무역협상 당사국간
   상대국 제품 수입을 확대할 것을 합의

- 전자제품․기계․자동차 등 10대 품목에서
  중국이 미국 제품 수입을 확대할 경우,
  한국 수출 460억불(약 53조원) 축소 주장

※ 보고서 원문은 www.imf.org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기획재정부 입장 ]

➊ 보고서 주장은
IMF 연구자의 가상적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것으로
실현 가능성이 희박

- 보고서의 결론은
  중국이 무역적자(2017년 3,370억불)를 전환
  (여타국 수입 축소 + 미국 수입 확대)한다는
  비현실적 상황을 전제(p.7)

- 보고서도 同 분석이 수입 재화의 국가간 전환이
  완전하게 가능(perfect substitution)하며,
  글로벌 가치사슬(GVC)이 쉽게 변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 분석이라는 점을 연구의 한계로 인정(p.17)

➋ 美․中 무역 갈등 해소시, 글
로벌 불확실성 해소,
교역 상대국의 무역 및 성장 개선 등에 따라
한국의 수출이 개선될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

* IMF는 2019.10월 세계경제전망(WEO)시
  글로벌 경제의 하방 리스크로
  美․中 무역갈등에 따른 교역 축소 및
  투자심리 위축 등 지목

- 보고서도 美․中 무역갈등 해소시,
  다자간 무역체제(multilateral trading system) 강화,
  중국 시장 개방 등의 긍정적 효과가 가능하나,
  연구에서 同 가능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 인정(p.17)

➌ 다만, 연구보고서는
美․中 무역협상의 결과
한국의 對中 수출에 부정적 여파(Spillover)의
가능성을 지적한 의의

→ 정부는 향후 美․中 무역협상의 진행 상황,
    한국 수출에의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적기 대응할 계획

서비스산업 자문단 Kick-off 회의 개최 및 결과

「서비스산업 자문단 Kick-off 회의」 개최 및 결과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9-11-22


□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019년 11월 22일(금) 07:40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서비스산업 자문단 Kick-off 회의를 개최하여,

ㅇ 분야별 서비스업 상황을 점검하고
중장기 서비스산업 비전과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자문단 운영방향에 대해 논의하였음

* 참석자 : 기재부 1차관(주재),
  기재부 서비스산업혁신 TF 국장,
  7개 연구기관(한국개발연구원, 산업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교통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급 등

※ (별첨)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 모두발언


[ 서비스산업 발전의 중요성 ]

□ 반갑습니다. 기획재정부 1차관 김용범입니다.

ㅇ 우선 이른 아침에 서비스산업 자문단
    Kick-off 회의에 참석해 주신
    주요 연구기관 부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 그동안 정부는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여 왔습니다만,
최근의 경제여건은 그 수준을 넘어
서비스산업 혁신의 절박감을 느끼게 합니다.

① 저출산·고령화(L), 투자 부진(K) 등으로
잠재성장률이 2% 중반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저성장 극복을 위해서는
  총요소생산성(TFP)을 높여야 하나,
  이미 세계 정상수준인 제조업에서
  추가로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 OECD 회원국 생산성(35개국): 전산업 21위,
  제조업 5위 vs. 서비스업 27위

- 우리 제조업이나 다른 선진국 서비스업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서비스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해 시급합니다.

*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천불) :
  (韓) 51.7(제조 : 112.7), (美) 104,5, (프) 80.1

- 서비스업 생산성을
  OECD 국가의 평균 수준으로 올리면
  GDP가 1%p이상 높아지고,
  약 15만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연구결과(KDI)도 있습니다.

② 또한, 기술진보, 1인 가구 증가 등 
경제구조 변화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 수요가 
봇물처럼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 ICT 기술 플랫폼 경제는                 
  서비스산업 거의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는
   의료·복지 등 서비스 형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기존 제도와 관행은 이를 수용하는 데 숨이 차고,
  곳곳에서 나타나는 이해(利害)의 갈등은
   新서비스의 사업화를 더디게 합니다.

③ 서비스는 이제 非교역재가 아닙니다.

- 보통 서비스는 제조업·공산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제경쟁에 덜 노출되어 非교역재로 분류되어 왔지만,

- ICT 기술의 발달로 서비스의 시·공간 제약이 사라지면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 지고 제조업에 이어
  서비스업도 승자독식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계마저 희미해지고 있어
  문을 걸어잠그고 있다 하여 흐름을 막을 수 없고,
  심지어 어디를 닫아야 할지도 알기 어렵습니다.

[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방향 ]

□ 비상한 상황에서는 비상한 각오와 대응이 필요합니다.

ㅇ 정부는 신발끈을 다시 묶는 심정으로
    서비스산업의 혁신을 추진코자 합니다.

ㅇ 우선 지난 10.30일 기재부에 서비스산업혁신기획단을
    설치하였고,
    오늘 회의를 통해 자문단도 구성하고자 합니다.

□ 아울러, 이번 정기국회내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통과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습니다.

ㅇ 20대 마지막 정기국회인 점을 감안할 때
    만약 이번 기회를 놓친다면
    또 얼마나 기다려야 할 지 모릅니다.

ㅇ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국회에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통과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 법 통과 이전이라도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➊ 첫째, 제조업 수준의 서비스업 지원을 위해
   재정․세제․금융·조달 등에 있어 제조업-서비스업간
   차별을 전면 재점검, 해소해 나가겠습니다.

➋ 둘째, 서비스산업 정보화․표준화, R&D 등
   기초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통계 DB 구축․R&D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통해
   서비스산업 혁신의 기반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➌ 셋째,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도규제샌드박스 등을
   적극 활용하여시범사례를 창출하고 확산해
   나가겠습니다.

➍ 넷째, 핵심 유망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겠습니다.
   보건․관광․컨텐츠․물류 등 기존 유망분야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요양 등 사회서비스도 활성화해 나가겠습니다.

➎ 다섯째, 범정부 추진체계를 재정비하고
   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비전 및 전략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하겠습니다.

[ 마무리 말씀 ]

□ 우리 경제는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열었습니다만,
서비스업의 비중은 다른 나라의 1만불 당시의 비중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 국민소득 1만불 시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 (韓) 약 56%(‘18년 59.1%), (美) 약 68%, (프) 약 69%

ㅇ 서비스업이 3만불 시대에 걸맞게 혁신해야
    우리 경제는 4만불, 5만불 시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 하지만, 혁신은 利害간 갈등을 낳고,
그 갈등을 넘어서야만 진정한 혁신,
포용적 혁신이 가능합니다.

□ 오늘 출범하는 자문단은
그동안 축적한 전문성과 현장감을 바탕으로
혁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의 갈등해소를 위한 지혜도
함께 모아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ㅇ 다시 한번 참석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회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