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30일 목요일

제40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20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 발언 -

제40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20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 발언 
- 지표상 경기회복이 민생안정으로
  이어지도록 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
- 5월중 매일 배추 110톤, 무 80톤 방출, 
  5~6월중 직수입 과일 3.5만톤 이상 도입
- 농수산물 7종 할당관세 오늘부터 신규 적용,
  김 양식장 2,700ha 신규개발
- 지역에서 창업·성장·일자리 창출이 
  이뤄지도록 지역 성장지원서비스 
  강화방안 논의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4-05-10

[참고]
2024년 5월 1일(수),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주재 
- 최상목 부총리 모두 발언은

2024년 2월 29일(목), 
제11차 물가관계차관회의 개최 
- 농산물.석유류 등 물가 불안요인을 점검은

2024년 2월 15(목), 
제37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10차 물가관계차관회의 주재 
-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 발언은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2024년 5월 10일(금) 9:00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0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20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여 
➊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역 성장지원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 
➋혁신적 조달기업 성장 지원방안 이행점검, 
➌부처별 물가안정 대응상황 점검 등을 
논의하였다.
.
* 참석부처: 과기부, 외교부, 행안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고용부, 
  해수부, 중기부 등








2024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 2024년 4월 소비자물가는 2.9% 상승 -

2024년 4월 소비자물가 동향 
- 2024년 4월 소비자물가는 2.9% 상승 
-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3% 상승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4-05-02

[참고]
2024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 2024년 3월 소비자물가는 3.1% 상승은


1. 주요 내용
1)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2.9% 상승(2024년 3월 3.1%)

2) (근원물가*) 
서비스 물가 안정세 등으로 
전년동월비 2.3% 상승(2024년 3월 2.4%)

3) (생활물가*)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폭 둔화 등 
전년동월비 3.5% 상승(2024년 3월 3.8%)

4) (신선식품) 
기상여건 개선 등으로 전월비 하락, 
전년동월비 19.1% 상승(3월 19.5%)

 2. 평가 및 대응
□ (평가) 2024년 4월 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서비스 가격 둔화 등으로 2.9% 상승
(2024년 3월 3.1%)

ㅇ 추세적인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전월보다 상승폭이 축소되어
   2.3%를 기록하면서 
   안정 흐름 지속(2024년 3월 2.4%)







2024년 4월 고용동향 및 평가 - 고용률.경제활동참가율 4월 기준 역대 최고 -

2024년 4월 고용동향 및 평가

-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4월 기준 

  역대 최고

- 취업자수 증가폭 20만명대 회복

  (17.3→26.1만명)하며 

  견조한 고용흐름 지속

- 경제회복세 이어지고 있어 양호한 

  고용증가세 지속 전망


[참고]

2024년 3월 고용동향 및 평가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24/05/2024-3-3.html


1. 2024년 4월 

15세 이상 고용률(63.0%, +0.3%p)ㆍ

15~64세 고용률(69.6%, +0.6%p)ㆍ

경제활동참가율(65.0%, +0.6%p) 

모두 4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견조한 고용흐름을 지속하였다.


2 취업자수(+26.1만명)가 

전년동월대비 20만명대 증가를 회복하였고, 

업종별로는 제조업 고용이 17개월만에 

두 자릿수 증가(+10.0만명)하였으며, 

농림어업 고용도 6개월만에 

증가 전환하였다.


3 연령별로는 

청년층 고용률(46.2%)이 2개월만에 

상승 전환하는 등 대부분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상승했다. 


특히, 주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의 경우 37개월 연속 

고용률(72.7%, +1.0%p) 상승하며 

4월 기준 역대 최고, 

실업률(5.8%, △0.9%p)도 큰 폭 하락하며 

4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2024년 3월 고용동향 및 평가 - 고용률.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최고 -

2024년 3월 고용동향 및 평가 
-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3월 기준
  역대 최고
- 기저효과 영향으로 취업자수 증가폭은
  다소 조정받는 모습(+17.3만명)
- 경제회복세 이어지고 있어 
  고용도 개선흐름 지속 전망

          한국은행        등록일   2024-04-


[참고]
2024년 2월 고용동향 및 평가는

1. 2024년 3월 
15세 이상 고용률(62.4%, +0.2%p)과 
15~64세 고용률(69.1%, +0.4%p)ㆍ
경제활동참가율(64.3%, +0.2%p) 모두 
3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다.

2. 취업자수는 
2023년 3월에 증가세가 크게 
확대(2월 +31.2만명 → 3월 +46.9만명)되었던 
기저효과 영향으로 
최근의 가팔랐던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1분기 전체로는 29.4만명 증가하며, 
작년 하반기와 유사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3. 연령별로는 30대부터 
고령층까지 고용률이 상승하였다. 
청년층의 경우 
고용률(45.9%, △0.3%p)이 
소폭 하락하였으나 
실업률(6.5%, △0.6%p)은 
2개월 연속 감소하였고, 

주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의 경우 
36개월 연속 고용률(72.8%, +0.9%p) 상승하며 
3월 기준 역대 최고, 실업률(5.5%, △1.2%p)도 
큰 폭 하락하며 3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더본코리아, 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더본코리아, 
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4-05-29



2024년 5월 30일 목요일 증시현황

2024년 5월 30일 목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증시현황은















일본 금리 상승을 보고 있노라면 무섭다.

아무리 국채가격 절대치가 낮다고 해도
어제도 4.7%, 1개월 전에 비해 25%
오늘도 하락 보다는 상승을 걱정하면서 
일본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있는데
대출자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24년 3월 19일(화)
일본은행이 마이너스 금리를 끝냈지만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하면서
일본 엔(YEN) 가격은 오히려
하락시켰지요.

자료를 보면 
2024년 3월 20일만 해도
일본 금리가 0.730%였는데
2024년 5월 30일(목)에는 1.084%로   
대출 받은 사람들은 멘탈이 붕괴되고
있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자료=tradingview]




더해서,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자들은 멘붕에 빠지고,
일본 정부 혹은 일본 경제의
미래 전망까지 어두워지면서
통화가치까지 하락하며,
수입물가는 상승하고
또 다시 물가를 자극하고
국운(國運)이 하락하면서 
국민들의 원망이나 짜증이 높아지게 되지요.

우리야 일본의 금리상승을 지켜보는 입장이지면
엔화 대출 받은 분들은.....,



[참고]
2024년 5월 28일 화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는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2024년 7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2024년 5월 29일 수요일)

※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올려놓은 것입니다.  


2024년 7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자료=한투홈페이지.cme.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