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7일 월요일

2025년 4월 7일 월요일 중국, 홍콩, 일본 증시현황과 가상자산, 시세 [자료=naver.tradingview]

2025년 4월 7일 월요일 
중국, 홍콩, 일본 증시현황과 
가상자산, 시세 [자료=naver.tradingview]

[참고]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일부만 발췌한 것입니다.
* 베트남 증시는 휴장했으며
2025년 4월 3일 베트남 증시 현황은















2025년 4월 7일 월요일 증시현황

2025년 4월 7일 월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4월 4일 금요일 증시현황은















포이닉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접수

포이닉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접수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4-07






2025년 4월 7일 월요일, 거래소(유가증권)시장 매도사이드카(프로그램매매 매도호가 효력정지) 발동

2025년 4월 7일 월요일, 
거래소(유가증권)시장 
매도사이드카(프로그램매매 매도호가 
효력정지) 발동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4-07

[참고]
2024년 8월 6일 화요일 증시현황과 
거래소(코스피)와 코스닥 사이드카
(프로그램매매 호가 효력정지) 발동은


□ 발동시각 : 2025년 4월 7일 월요일,
     09시 12분 (금년 중 1번째 발동)

□ 발동내용 : 코스피200선물(최근월물)이
    전일종가(기준가격) 329.15p에서 312.05p로 
    17.10p(-5.19%) 하락한 후 1분간 지속되어
    매도사이드카 발동  

ㅇ 발동시점으로부터 5분간(09:12~09:17)
    프로그램매매 매도호가의 효력정지

ㅇ 발동 5분 경과 후 사이드카 자동 해제
   (호가효력 발생)




2025년 3월 25일(화), 「2026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 국무회의에서 의결.확정

2025년 3월 25일(화), 
「2026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 국무회의에서 의결.확정
-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면서도 
  생산성 제고로 적극적 역할 수행 
- 민생안정·경기회복,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중점 투자
- 의무지출 재점검, 
  구조적 문제해결·수요자 맞춤형 지원 등
  지출혁신 추진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3-25

[참고]
2024년 3월 26일(화), 
「2025년 예산안 편성지침」 확정 
- 2025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 주요 내용은


정부는 2025년 3월 25일 
「2026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지침」을 국무회의에서 의결ㆍ확정했다. 
예산안 편성지침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3월 31일까지 각 중앙관서의 장에게 통보되며, 
각 부처가 ’26년도 예산안 요구시 
준수해야 하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편성지침 확정으로 
2026년 예산편성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026년(내년) 예산안은 대내외 불확실성, 
민생 어려움 등 당면현안 해결에 
중점을 두면서 잠재성장률 하락, 
인구·지역소멸 위기 등에 대응한 
국가경쟁력 강화도 동시에 추진한다. 
또한 전략적 재원배분으로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6년 예산안은 
① 민생안정과 경기회복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고, 
②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해 AI 등
   첨단산업 육성, 산업구조 전환, 
   수출·공급망 안정화를 지원한다. 
③ 인구·지역소멸·기후위기에 대응한
   경제·사회 체질개선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④ 국민안전 확보와 굳건한 외교안보 투자도 
강화한다.

① 민생안정과 경기회복을 위해 
▲내수진작 및 소상공인 경영안정, 
▲청년 등 일자리 창출, 
▲사회적 약자 보호와 자립기반 강화, 
▲주택·안전 인프라 등
  지역경기 활성화를 지원하고,

② 산업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AI혁신생태계 조성,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주력산업 지원, 
▲선도형 R&D 전환 정착, 
▲수출다변화 및 공급망 안정화에 중점 투자한다.

③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위기 대비, 
▲지역소멸위기 극복, 
▲무탄소 에너지 등 기후위기 대응과 함께 
▲신산업·첨단산업 미래인재 양성 등
경제·사회체질 개선을 추진한다.

④ 국민안전을 확보하고 
  굳건한 외교·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민생침해범죄 예방·대응, 
▲재난관리 시스템 및 의료 인프라 확충, 
▲첨단전력 강화와 방위산업 육성, 
▲양자·다자외교 역량 지원을 확대한다.

한편, 향후 성장률 저하에 따른 
세입기반 약화와 고령화 등에 따른 
의무지출 증가로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만큼, 
의무지출 재점검 등 재정혁신 노력을 강화한다.




2026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안)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3- 25


[제1편 2026년도 예산안 편성방향]
Ⅰ. 재정운용 여건
Ⅱ. 2026년도 예산안 편성방향 
[제2편 2026년도 기금운용계획안 작성방향]
Ⅰ. 기금운용 여건
Ⅱ. 2026년도 기금운용계획안 작성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