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2일 목요일

경기도민 66%, 서울시민 43%, “서울시의 경기버스 억제정책 잘못”

경기도민 66%, 서울시민 43%,
“서울시의 경기버스 억제정책 잘못”

○ 경기도민 79%, 서울시민 78%
    “서울출근 대책, 경기도와 서울시 공동 책임”
○ 버스전용차로, 서울도심 혼잡완화에 기여


경기도민 66.2%, 서울시민 42.6%는
서울시의 경기버스 억제 정책은
잘못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비율은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경기도민에게서 76.5%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기연구원이 1,000명
(경기도민 500명,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수도권 광역버스
정책의 지역 갈등> 연구보고서에 담겼다.
서울로 출근하는 사람들을 위해
버스를 늘려야 하는 경기도와
이를 막는 서울시의 갈등은 오래됐다.
서울시는 버스전용차로 혼잡을 이유로
경기도 버스의 도심 진입과 증차
요구에 모두 부정적이다.
서울시의 차별적인 경기버스 억제 정책에
대해 경기도민의 69.8%, 서울시민의 68.0%가
잘 모른다고 답했다.
지자체 간 정책 상충으로 일반 시민들은
차별과 불편을 경험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경기버스 억제정책을 찬성하는 쪽은
‘서울 경계에서 환승 경로 존재’와
‘경기도민으로 인한 서울시민 혼잡 피해’를
이유로 꼽고 있다.
반면, 반대하는 쪽은 ‘동일한 버스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과 ‘서울 경계에서
환승 접근 불편함’을 꼽았다.

서울시민들은 서울 외곽에 경기버스
환승센터 설치를, 경기도민들은
버스전용차로 확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종합된다.
경기도민의 79.2%, 서울시민의 78.0%는
서울출근에 대한 대책은 경기도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공동책임 비율은 약 5:5로 나타나
정책 갈등보다는 상호 협력을 주문한
것이다.
보고서는 광역교통수요의 원인 51%를
서울시가 제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경기도 인구증가의 상당 부분은
서울시에서 유입된 인구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례로 1995년 4.3%에 그쳤던
서울→경기 순유입 인구 비중은
2013년 21.6%로 증가했다.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사 온 사람 4명 중
1명은 서울에 직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1995년 이후 약 59만 명의 서울전입자가
서울로 출근 중이다.
이를 수치로 보면 하루 광역버스
이용객 35만3,498명 중 5만4,134명(15.3%)에
달한다.
반면, 힘든 출퇴근 속에서도 경기도민은
서울 경제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 경제활동인구의 21.8%는
경기도민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신용카드 지출액 분석 결과를 보더라도,
서울시 신용카드 매출액의 약 14.3%를
경기도민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경철 휴먼교통연구실 연구위원은
“경기도 버스로 인한 버스전용차로
혼잡 가중은 사실이나 승용차 이용 억제로
서울도심 혼잡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라면서, “경기도 버스를
서울 도심혼잡의 원인으로 볼 것이 아니라
도심 도로혼잡 개선을 위해 꼭 필요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나 교통 등 수도권의 시민 생활권은
하나인데 행정경계로 인한 소모적인
정책 갈등을 하루빨리 해결하자는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또한 서울시는
경기도 버스에 대한 차별보다는
버스전용차로 확장과 같은 적극적인
친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할 것을,
경기도는 광역버스 증차도 중요하지만
기존 광역버스 노선과 보유대수 내에서
최적의 운영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요청했다.

홍보담당 : 김성진 과장 (전화: 031-250-3292)
내용문의 : 박경철 연구위원 (전화: 031-250-3571)

문의(담당부서) : 경기연구원
연락처 : 031-250-3292
입력일 : 2015-06-30 오후 8:05:49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