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월 27일 목요일

2020년 2월 27일, 통화정책방향

2020년 2월 27일, 통화정책방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0-02-27


[참고]
2020년 1월 17일, 통화정책방향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0/01/2020-1-17_17.html


통화정책방향

​□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1.2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 세계경제는
교역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되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주요국 국채금리와 주가가 하락하고
미 달러화가 강세를 나타내는 등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코로나19의 확산 정도,
보호무역주의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설비투자의 부진이 완화되었으나,
건설투자의 조정이 이어진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수출이 둔화되었다.

고용 상황은 취업자수 증가폭이 확대되는 등 개
선되는 움직임을 지속하였다.

금년중 GDP성장률은
2%대 초반 수준에서
지난 11월 전망치(2.3%)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향
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전환,
석유류 가격 오름세 확대 등으로
1%대 중반으로 높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0%대 후반으로 상승하였으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대 후반을 유지하였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초반을 보이다가 다소 낮아져
금년중 1% 내외를,
근원인플레이션율은 0%대 후반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시장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 었다.

장기시장금리와 주가가 큰 폭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당폭 상승하였다.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소폭 확대되었으며
주택가격은 서울 이외 수도권을 중심으로
비교적 높은 오름세를 나타내었다.

□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와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계부채 증가세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글로벌 무역분쟁, 주요국의 경기,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전개 상황도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