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등록일 2016-08-09
최근 우리 경제상황은 개별소비세 인하 및
재정조기집행 등의 정책효과에 힘입어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수출 회복지연 등으로
생산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인 것으로 진단됐다.
기획재정부는 9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를 발간하고 최근 경제상황을 이같이
분석했다.
그린북에 따르면 올해 6월 고용은
지난해 메르스로 인한 기저 효과 등에 따라
서비스업 고용이 확대되며 취업자 증가폭이
30만명대로 회복됐지만, 제조업 고용부진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소매판매(소비)는 승용차 개소세 인하 등에
힘입어 전 달보다 1.0% 증가했다.
승용차 등 내구재와음식료품 등 비내구재가
각각 3.0%, 0.8% 증가했고 의복 등 준내구재는 1.5% 감소했다.
특히 승용차는 10.1% 뛰었다.
6월 서비스업생산 역시 승용차 판매와
주식거래가 늘어나면서 1.0% 증가했다.
분야별로 보면 예술·여가(6.8%), 출판·방송·통신(1.8%),
금융·보험(1.3%), 보건·사회복지(1.6%),
도소매(0.6%), 음식·숙박(0.1%) 등이 증가했다.
반면 전문·과학·기술(-0.2%), 협회·단체(-0.3%) 등은
감소했다.
한편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가 6월로 종료되면서,
내수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7월 소매판매 잠정치에 따르면
7월 국산 승용차 판매량은 전달보다 10.5% 줄었다.
7월 수출은 지난해 대비 10.2% 감소한
410억5000만달러를 기록하며 부진했다.
2015년 1월 이후 19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데
이어 전 달(-2.7%)보다 감소 폭도 확대됐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역시 17억5000만달러로
6월(19억7000만달러)보다 줄었다.
저조한 수출 성적은 광공업생산 부진과 맞물렸다.
6월 광공업생산은 지난 달보다 0.2% 줄었다.
5월 광공업생산이 2.7% 증가했던 것과 비교해
감소 폭이 커졌다.
기재부는 수출 회복 지연, 5월 광공업생산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7월 광공업생산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완성차업체 파업 등이 하방요인으로 꼽혔다.
분야별로는 반도체(11.1%), 통신·방송장비(4.7%),
가구(6.2%) 등이 증가, 자동차(-2.5%), 1차금속(-3.0%),
기타운송장비(-6.1%) 등이 감소했다.
6월 제조업재고는 지난 달 대비 0.3%포인트 떨어졌다.
6월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지난 달보다 0.9%포인트
하락한 72.1%로 집계됐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호조를 보이며 4.5% 늘었고,
재정조기 집행 영향으로 전월보다 3.1% 증가했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브렉시트와 구조조정 본격화 등
대내외 하방위험이 있고, 승용차 개소세 인하 종료 등에
따라 내수 회복세가 제약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추경 등 재정보강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고, 소비‧투자 등
부문별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노력을 강화해
경기‧고용 하방 리스크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