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7일 일요일

경기도 新노년층 가구 예상노후소득 176.4만원, 新노년 4가구 중 1가구는 적자

新노년 4가구 중 1가구는 절대적 빈곤,
新노년지원체계 필요
○ 경기도 新노년층 가구 예상노후소득 176.4만원,
     新노년 4가구 중 1가구는 적자
○ 생산·활동적이고 독립된 생활을 원하는
    新노년을 위한 지원제도 부재한 상황
○ 노후소득, 여가취미활동 등 노후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新노인지원체계 필요

문의(담당부서) : 경기연구원 
연락처 : 031-250-3121  |  2016.08.05 17:27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들의 성공적인 노년을 지원하기 위한 노인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경기연구원은 新노년층(1955년~1963년생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실태를 조사하고
준비된 노년을 위한 노후준비 지원체계를 제안하는
<신노년층, 신세대인가 신빈곤층인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도 베이비부머 8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후준비 실태조사 결과,
新노년가구의 예상노후소득은 월 176.4만원,
본인이 생각하는 최소한의 노후생활비는
월 185.8만원으로 나타났다.
2016년 2인 가구 최저생계비인 110.7만원보다 높지만,
예상노후소득이 최소노후생활비에는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노후에 적자가 예상되는 가구의 비중은
주택·농지연금 활용 여부에 따라 19~34%로 나타났다.
新노년 4가구 중 1가구는 현재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으로 절대적 빈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경제적 노후준비의 장애 요인은
‘자녀의 양육·교육비’과 ‘낮은 소득수준’을 꼽았다.
자녀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057만원, 부모를 위한
지출비용은 연 188만원으로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新노년층은 노인을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보호대상으로 간주한 과거와 달리,
여가·취미생활에 관심을 가지며 구매력을 갖춘
신세대이다.
자녀 세대로부터의 독립된 생활을 원하고
사회참여와 여가·취미에 관한 욕구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퇴직 후 일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8%가
65세 이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했으며,
원하는 근무형태로 정규직 풀타임(21.8%)을 선호했다.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는 소득(65.1%), 건강(16.2%),
자기발전(11%) 여가활용(7.7%)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설계를 위한 상담이나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7.8%인 반면, 실제 상담이나 교육을 받아본
경험은 5%에 불과했으며, 노후준비에 필요한 교육으로는
‘건강관리’와 ‘여가·취미생활’순이다.

김도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新노년층이
노년기 삶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노인지원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경제적 노후준비와 함께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건강 등 다방면의 지원 체제를 마련해야한다”며
“新노년층이 생산적이고 활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기존의 복지지원사업과는 차별화된 정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新노년층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기초연금강화 등 소득보장제도 강화
▲주택·농지연금 활용인식 전환을 포함한
   노후재무교육 강화
▲여가·취미활동이 사회공헌 및 일자리로
   이어지는 순환체계 마련
▲자립적 인생 제3기 준비를 위한 인큐베이팅
   공간 마련을 제시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지사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경기도노후준비지원협의회(가칭)’을 통한 다층적인
노후준비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