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지원
○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 사용해봤다”66.6%
○ 민원·우편물 등 공공부문 이용률 높은 반면,
○ 민원·우편물 등 공공부문 이용률 높은 반면,
음식배달·길찾기 등 실생활 이용률 낮아
○ 미사용 부문 중심으로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 미사용 부문 중심으로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 지원,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필요
연락처 : 031-250-3122 | 2016.08.11 16:41
경기연구원은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도로명주소 정착 지원 방안을 제시한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도민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로명주소 인식조사 결과,
도로명주소를 사용해본 사람은 66.6%로 나타났고,
여전히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 33.4%로
조사되었다.
도로명주소가 불편한 이유는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31.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로명주소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기억하기가 어렵다(50.7%)’,
‘사용할 일이 없다(27.0%)’,
‘위치 찾기가 더 어렵다(20.7%)’ 순으로 나타났다.
도로명주소는 민원업무(72.3%)나 우편물(69.0%)과
같은 공공부문의 이용률은 높은 반면, 실생활과
밀접한 음식배달(18.8%), 길찾기(17.6%)에서는
이용이 저조한 실정이다.
도로명주소 정착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도로명주소 표지판 등 안내시설문 추가설치(60.3%)’,
‘택배, 내비게이션 등 생활 속에 도로명주소
정착지원(57.1%)’, ‘홍보·교육(53.7%)’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 도로명주소 체계는 지번주소와의 이중사용으로
인한 불편함, 지번주소보다 길어 외우기 어려움,
잦은 도로명주소 변경으로 인한 혼선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로명이 길고 숫자가 포함되어 외우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용자의 20%이상 동의 시
도로명주소를 변경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잦은
주소변경으로 이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다.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도로명주소 활성화 전략으로
▲도로명주소 미사용부문 중심의
도로명주소 전환사업 집중지원
▲생활밀착형 도로명주소 안내시설 확충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의 맞춤형 홍보·교육 강화
▲중앙정부 차원의 지자체 홍보사업 선별적
지원 확대를 제시했다.
경기도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업소의 영수증,
홈페이지 등을 제보 받아 도로명주소 사용을 장려하는
‘도로명주소 신문고 제도’를 지난 해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도로명주소 미사용자 대상으로
집중 홍보하고 있다.
도로명주소가 정착되지 않은 미사용 사업장은
홈페이지, 카드단말기 등 주소 변경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고, 도로명주소 조기정착과
쉬운 길찾기를 위해 안내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또한 도로명주소의 사용·표기법에 관한 홍보 및
교육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집단 홍보가 아닌
미사용자를 중심의 집중 홍보하고, 성과로 검증된
지자체 홍보사업은 정부 차원에서 지속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한편 2014년 1월 시행한 도로명주소는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홍보 및 시설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담당자 : 옥진아(031-250-312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