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5일 수요일

2025년 1월 15일 수요일 증시현황

2025년 1월 15일 수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1월 14일 화요일 증시현황은















2024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2024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5-01-15

[참고]
2024년 12월 23일(월), 
-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개최 
- 외환수급 개선방안, 
  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 신속 추진은

2024년 11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은


▣ 2024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는 hawkish한 
미 연준의 12월 FOMC 등으로 
추가 금리인하 속도 둔화 우려가 부각되며 
투자심리가 다소 약화되는 모습

ㅇ주요국의 국채금리가
  상당 폭 상승한 가운데 
  미국 주가는 하락하고, 
  미 달러화는 강세흐름을 지속 

▣ 국내 외환부문에서는 
미 달러화 강세와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였으며,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순유출 규모가 확대

ㅇ국내은행의 대외차입 여건은 안정적인 모습 













2024년 12월중 금융시장 동향

2024년 12월중 금융시장 동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5-01-15

[참고]
2024년 12월 19일(목),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 2024년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금리 인하(△25bp) 결정은

2024년 11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은

2024년 11월중 금융시장 동향은


▣ 국고채금리(3년)는 
경기둔화 우려 증대 등으로 
상당폭 하락하였다가 
미 국채금리 상승 영향으로 반등 

▣코스피는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 
미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 등으로 큰 폭 하락하였다가 
연초 들어 국내 주가 저평가 인식,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상당폭 회복

▣ 2024년 12월 은행 가계대출
(2024.11월 +1.9조원 → 12월 -0.4조원)은 
소폭의 감소로 돌아섰으며, 
기업대출(+2.2조원 → -11.5조원)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큰 폭 감소

▣ 2024년 12월 금융권 수신은 
은행(2024.11월 +18.9조원 → 
2024. 12월 +16.5조원)이 
증가 세를 지속하였으나 
자산운용사(+8.7조원 → -23.3조원)는 
큰 폭 감소


* 보도자료에 인용된 각종 수치는
  통화정책 필요상 작성된 속보치이며
  공식 통계치와 포괄범위 등에서도
  차이가 있으니
  이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2024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한국은행      등록일   2025-01-15

[참고]
2024년 11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는


1. 수출물가지수
□ 2024년 12월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가운데 
화학제품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2.4% 상승
(전년동월대비 10.7% 상승)

2. 수입물가지수
□ 2024년 12월 수입물가(원화기준)는 
국제유가* 및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2.4% 상승
(전년동월대비 7.0% 상승)

3. 무역지수
□ 2024년 12월 수출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차금속제품 등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6.5% 상승

o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7.8% 상승

□ 2024년 12월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기계및장비 등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5.5% 상승

o수입금액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9% 상승

□ 2024년 수출물량지수는 
전년대비 5.6% 상승, 
수출금액지수는 7.5% 상승하였으며
수입물량지수는 
전년대비 0.5% 하락, 
수입금액지수는 2.2% 하락

4. 교역조건지수
□ 2024년 12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전년동월대비 -3.5%)은 하락하고 
수출가격**(1.2%)은 상승하여 
전년동월대비 4.8% 상승

□ 2024년 12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량지수(6.5%)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4.8%)가 모두 상승하면서 
전년동월대비 11.6% 상승

□ 2024년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대비 3.5% 상승,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년대비 9.3% 상승
















비트코인 상승과 하락을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2025년 1월 20일 가상 자산을 표방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코인.토큰)에 관심이 커지고 있지요.

특히, 비트코인은 금을 대체할 수단으로 떠오르며
비트코인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고요.
더해서, 비트코인을 대체할 가상자산이 아직은
존재하지 않기에 비트코인의 가치가 더 높아지는
느낌이고요.

[자료=tradingview.bithumb]






이렇듯, 비트코인에 대한 쏠림 현상이 나타나면서
비트코인 가격의 상승과 하락 폭이 잡주(雜株)를
능가하면서 비트코인 가격 예측이 어렵지요.

한마디로, 비트코인 가격은 전문가들의 예측이
맞지 않기에, 본인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서
투자를 해야 한다는 뜻이지요.

예를들어, 주식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3% 하락하면
하락으로 마감할 확률이 크지만 
비트코인은 3% 하락쯤은 거뜬하게 이겨내고 
오히려 상승 3%로 거래가 진행된다는 것이지요.

2025년 파이(Pi)를 비롯한 새로운 코인들이
상장을 하면서 비트코인의 자리를 상당부분 
잠식하면서 비트코인의 투자의 최적의 해(亥)가
될 것도 같은데.....,


[참고]
2025년 1월 13일 월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는


2025년 1월 14일 화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