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1일 금요일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거래소 신규상장(2025년 4월 15일)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RISE 미국휴머노이드로봇,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 액티브, 
거래소 신규상장(2025년 4월 15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4-11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증시현황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증시현황은















2024년말(2024년 4분기) 경제주체별 금융자산.금융부채 추이

2024년말(2024년 4분기) 
경제주체별 금융자산.금융부채 추이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0

[참고]
2024년 3분기 
경제주체별 금융자산.금융부채 추이는


□ 2024년말 현재 국내 비금융부문의 
금융자산은 1경 2,260.3조원을, 
금융부채*는 7,711.0조원을 기록 

* 금융부채 총액에서 상환의무가 없는 
  ‘거주자 발행주식 및 출자지분’과 
  ‘직접투자’를 제외

□ 이에 따라 국내 비금융부문의 
순금융자산은 4,549.3조원이며,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1.59배로 
전년말(1.57배)보다 소폭 상승

o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금융부채 배율은 2.31배로 
   전년말(2.25배)보다 상승






2024년 자금순환(2024년 4분기 자금순환)

2024년 자금순환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10

[참고]
2024년 3분기 자금순환은

□2024년중 우리나라 경제주체의 
경제활동 결과 발생한 국내부문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116.6조원을 기록

o 이 중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은 215.5조원, 
  일반정부의 순자금조달(-)은 38.9조원, 
  비금융법인의 순자금조달(-)은 65.5조원임














24년만의 최고 폭 폭등(暴騰)이 싫고, 폭락도 나쁘다. 미국 금리도 폭등하는데....,

미국 NASDAQ(나스닥) 지수를 비롯한 다우와
S&P 500지수가 24년 만에 최고 폭등을 했다고 야단이였고,
아시아를 비롯한 유럽 증시도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지만
오늘의 미국 증시 하락은 어제의 상승분을 많이 반납하면서 
폭등이 있으면 하락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줬지요.

2025년 4월 9일 목요일
미국 증시 24년만에 최고 폭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시행중인 "관세정책"이 관세 부과와 관세 유예를 반복하면서
하루를 알 수가 없게 되었고요.
특히, 중국에 대해서는 더 높은 145%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의 대응이 궁금하지요.

[자료=naver.tradingview]






미국 국채 금리가 폭등한 이유 중의 하나로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매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이 불러 일으킬 정도로 미국 금리가 폭등하면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관세)전쟁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궁금하지요.

결국, 미국과 중국이 합의를 하지 않고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대결을 벌인다면
세계 여려 나라가 고통을 받고요.
중국의 반격이 트럼프 1기 때 보다는 
확연하게 정교하고 여려가지 방법을 동원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여있는 우리나라 타력이
더 크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기에
빨리 관세 전쟁이 끝을 맺어야 할 텐데....,



[참고]
2025년 4월 9일 수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는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2025년 3월중 금융시장 동향

2025년 3월중 금융시장 동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5-04-09

[참고]
2025년 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은

2025년 2월중 금융시장 동향은


▣국고채금리(3년)는 
미국의 관세정책 강화 및 
이에 따른 국내외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요국 국채금리와 함께 상당폭 하락

▣코스피는 글로벌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면서 큰 폭 하락

▣ 2025년 3월 은행 가계대출
(2025.2월 +3.2조원→3월 +1.4조원)은 
증가폭이 축소되었으며, 
기업대출은 감소 전환
(2025.2월 +3.5조원 → 3월 -2.1조원)

▣ 2025년 3월 금융권 수신은 
은행(25.2월 +24.8조원 → 3월 +12.3조원)이 
증가폭이 축소되었으며, 
자산운용사(+39.3조원 → -13.1조원)는 
MMF를 중심으로 감소 전환

* 보도자료에 인용된 각종 수치는 
  통화정책 필요상 작성된 속보치이며 
  공식 통계치와 포괄범위 등에서도 차이가 있으니
  이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