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6일 목요일

2025년 3월 6일 목요일 증시현황

2025년 3월 6일 목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5년 3월 5일 수요일 증시현황은
















2024년말 대외채권채무 동향 - 2024년 대외채무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며, 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 -

2024년말 대외채권채무 동향 
- 2024년 대외채무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며, 
  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수준 
- 전체 대외채무 규모는 6,700억불로 
  전년말(6,725억불) 대비 △25억불 감소 
- 외채 건전성 지표는 다소 악화되었으나, 
  예년에 비해 낮은 수준 유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2-27


[참고]
2024년 국제투자대조표는

2024년 3분기말 대외채권.채무동향 
- 2024년 3분기 대외채무는
  전분기 대비 증가했으며, 
  건전성 지표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은


2024년말 대외채무는 6,700억불로 
전년말(6,725억불) 대비 △25억불 
감소(△0.4%)하였다. 

만기별로 보면 
단기외채(만기 1년 이하)는 1,469억불로 
전년말 대비 +62억불 증가하였고, 
장기외채(만기 1년 초과)는 5,232억불로 
전년말 대비 △87억불 감소하였다. 

부문별로 구분하면 
중앙은행(+3억불), 
기타부문(비은행권·공공·민간기업, +117억불)의 
외채가 증가한 반면, 
정부(△94억불)와 은행(△52억불)의 외채는 
감소하였다. 

한편, 대외채권은 1조 681억불을 기록하며, 
전년말(1조 445억불) 대비 
+236억불 증가(+2.3%)하였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의 차이인 
순대외채권은 3,981억불로 
전년말(3,720억불) 대비 
+261억불 증가(+7.0%)하였다. 






2025년 1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 2025년 1월 전산업 생산 감소, 내수 등 민생경제 회복과 수출 지원에 총력 -

2025년 1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 2025년 1월 전산업 생산 감소, 
  내수 등 민생경제 회복과 수출 지원에 총력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5-03-04

[참고]
2024년 연간 산업활동 동향 및 
2024년 4분기 산업활동 동향 및 
2024년 12월 산업활동 동향은


2025년 1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
(전기비 △2.7% / 전년동기비 △3.5%)이 
광공업(△2.3% / △4.1%)과 
서비스업(△0.8% / △0.9%)이 
전월 증가에 따른 기저영향, 조업일 감소 등으로 
조정된 가운데, 
건설업(△4.3% / △27.3%) 부진이 이어지며 
감소했다.

지출 측면에서는 소매판매(전기비 △0.6%)가 
내구재 판매 증가에도 연말 할인행사 종료, 
설 연휴에 따른 영업일 감소 등으로 
준내구재·비내구재 판매가 줄며 
전월 증가 후 감소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보합(0.0%) 전환했다. 

설비투자(전기비 △14.2% / 전년
동기비 △3.1%)의 경우, 
전월 큰 폭 증가 및 조업일 감소 영향 등으로 
감소했다.

2025년 1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전반적으로 전월 증가한 기저효과와 
조업일 축소 영향이 작용하는 가운데, 
건설업 부진이 지속되며 감소했다. 

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내수 등 민생경제 회복과 수출 지원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주식시장에서 떠나야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2025년 3월 4일부터 상장폐지(상폐) 
즉, "주식시장 퇴출제도"가 한층 강화되면서
개미투자자들의 고통이 커질 것 같지요.

한마디로, 형식적 상장폐지(예를 들면
감사의견 거절)는 잡주(雜株)를 피하면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하지만,
실질심사사유(예를 들면 횡령.배임)은
회사(기업) 관계자들이 아니라면
좀처럼 알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참고]
주식시장 퇴출제도 개선을 위한 
상장규정 시행세칙 개정
( 2025년 3월 4일부터 시행)은

결국, "감사의견 거절"도 상장폐지가 되지만,
일반투자자들 혹은 개미투자자들은 알 수도 없는
"횡령이나 배임"이 발생해도 즉시 상장폐지를
하겠다는 정부를 보면서 주식시장을 떠나야 겠다는
결심이 더 커지는데 손실을 기록하고 있어서
주식시장을 떠나는 것이 쉽지가 않네요.

앞으로는, 횡령이나 배임이 자주 발생하는
코스닥이나 소(小)기업 보다는 우량기업, 상장지수,
혹은 ETF나 금과 은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고통을 줄일 수 있다는 뜻이지요.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를 보면서
정신없이 쏟아내는 트럼프 관세정책을 보면서
조선시대 양반들이 왜 장삿치(商人)을 싫어했는지를
온몸으로 느끼는 현실에서 주식시장 퇴출제도까지
강화되는 것을 보면서 주식사장을 떠나는 것이
고통을 줄일 수 있는데.....,



[참고]
2025년 3월 4일 화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는


2025년 3월 5일 수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엠디바이스(226590), 코스닥시장 신규상장(2025년 3월 7일)

엠디바이스(226590), 
코스닥시장 신규상장(2025년 3월 7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3-05





에스엠씨지(460870.키움제7호스팩 합병), 코스닥시장 합병상장(2025년 3월 7일)

에스엠씨지(460870.키움제7호스팩 합병), 
코스닥시장 합병상장(2025년 3월 7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5-03-05

[참고]
에르코스 농업회사법인(435570.
키움제6호스팩 합병), 
코스닥 합병상장(2025년 2월 28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