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3일 화요일

8월 소비자물가 1.3% 상승, 10개월 연속 1%대 유지



8월 소비자물가 1.3%상승,
10개월 연속 1%대 유지

                                                  등록일 2013-09-02



8월 소비자물가 1.3%↑
10개월 연속 1%대 유지

- 8월 소비자물가 동향
  "농축수산물ㆍ석유류↑, 공업제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작년 11월 이후
10개월 연속 1%대 안정세를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올라
 10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는 올해 들어 1월 1.5%, 2월 1.4%,
3월 1.3%, 4월 1.2%, 5월과 6월 1.0%,
7월 1.4% 등 1%대 초중반을 오르내리고 있다.

전월대비로 보면 0.3% 상승했다.
6월 -0.1%로 하락했으나 7월 0.2%로 반등한 뒤
2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재부는 "농축수산물(3.6%) 및
석유류(1.0%) 가격이 오르며 전월대비
상승세를 주도한 반면, 공업제품(-0.2%) 가격은
전달보다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신선식품물가는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오르며 
작년 같은 달보다 2.6%, 전달보다는 6.9% 올랐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식료품ㆍ에너지 제외지수는 작년 8월과 비교해
각각 1.3% 및 1.2%씩 상승했다.

부문별 동향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수산물(-0.9%) 가격은 내렸으나
농산물(6.6%)과 축산물(0.2%) 가격이 오르며
전달보다 3.6%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배추(69.6%)ㆍ
수박(38.0%)ㆍ시금치(47.2%)ㆍ
토마토(40.7%)ㆍ양상추(59.8%)ㆍ
양배추(52.2%) 등은 전달보다 가격이 오르고,

오이(-8.7%)ㆍ바나나(-8.3%)ㆍ
고등어(-5.5%)ㆍ양파(-5.4%)ㆍ
갈치(-4.7%)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 중 석유제품은 LPG(2.3%)ㆍ
휘발유(0.8%)ㆍ경유(0.7%) 가격이
모두 오르며 전달대비 상승세를 지속했다.

화장품(-15.0%)은 할인판매의 영향으로
선크림(-32.9%)과 로션(-15.4%) 등의
가격이 크게 하락한 반면, 여자구두(19.5%)는
할인판매가 끝나며 가격이 상승했다.

전기ㆍ수도ㆍ가스는 전달보다 0.4%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전달과 비교해 보합세를 나타냈다.

집세는 전달보다 소폭(0.2%) 올랐으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7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비는 꾸준히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으나,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국내외 단체여행비ㆍ
콘도 이용료ㆍ국내 항공료 등이 오르며
전달대비 0.3% 상승했다.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전년동월대비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강원(0.8%),
충남(0.9%), 경남ㆍ인천(1.0%) 등이었다.

기재부는 "9월에는 추석을 앞두고
일부 과일ㆍ축산물 등 제수용품을 중심으로
가격상승이 우려된다"며 "그간 가격이 크게 오른
채소류는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이나,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불안요인은 여전히
잠재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성수품 수급안정 등을 포함한 '추석
민생안정 대책'을 마련해 오는 3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할 계획"이라며 "주요 농축수산물에 
대해선 정부 비축물량을 풀어 공급을 늘리는 등
가격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044-215-2772)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