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12일 목요일

경기도, 27일까지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점검

도, 27일까지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점검

○ 도, 11월 27일까지 접경지역
    정부지원 대피시설 55곳 점검
- 9월 실시한 1차 점검의 후속조치
○ 대피시설 55곳 책임관리 담당제 운영으로
    도-시군 협업 체계구축
○ 1차점검시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중장기 시설 전환 추진사항 등 확인


경기도가 접경지역 대피시설에 대한 점검에
나선다.
경기도는 오는 27일까지 접경지역에 위치한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 55개소의
운영관리실태 점검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 9월 실시한 1차 점검의
후속조치로, 도는 이번 점검에서
1차 점검 시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도 중점관리시설 중장기 시설전환
추진상황 등을 확인하게 된다.

점검대상은 도 중점관리시설 18곳과
시군 관리시설 37곳 등 총 55곳이다.
현재 중점관리시설로 지정된 18곳은
김포 10곳, 파주 3곳, 연천 5곳이며,
각 시군에서 관리를 실시하게 되는 37곳은
고양시 1곳 김포 8곳, 파주 11곳, 양주 3곳,
포천 7곳, 연천 7곳 이다.
점검은 비상기획담당관 소속 공무원으로
구성된 총 3개 팀 15명이 시.군과 협업해
담당 대피시설을 점검하게 되며,
세부 점검사항으로는
▲주민대피계획 실효성 여부,
▲시설 관리실태,
유사시 즉시 활용 가능 여부,
▲필수 비치비품 상태,
▲ 유도표지판 설치 및 사용요령
홍보 상태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이상구 경기도 비상기획담당관은
지뢰도발, 포격도발 등 연이은 도발로 인해
대피시설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는 만큼,
유사시 주민들이 대피시설을 활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대피소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9월부터
도내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의 편익·기능
강화를 위한 전면 개선을 추진 중이다.
도 중점관리시설은 단기 대피용에서
1일 이상 중장기 대피용으로 전환되며
자가발전기, 비상급수시설, 샤워실 등
필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지원시설 55곳에 대해 시설 운영에
필요한 전기요금 등의 관리비를 해당 시군에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평시에는 작은도서관, 안보체험 교육장 등
개방형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문의(담당부서) : 비상기획담당관
연락처 : 031-8030-2535
입력일 : 2015-11-12 오후 1:37:53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