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13일 월요일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3명은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3명은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행정자치부, 2014년도 전자정부 
이용실태 조사 결과 발표

        행정자치부    등록일   2015-04-13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만 16세에서 74세 일반국민 4,0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면 면접조사를 통해 
실시한 『2014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자정부법에 따라 추진되는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는 
‘12.10.31 통계법에 의한 국가승인
통계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후 
세 번째 실시된 것으로,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활성화방안 마련 등을 위해 
▲ 행정서비스 이용현황 
▲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현황 
▲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현황 
▲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전망 및 
   활성화 방안 등 35개 항목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이번 조사 결과,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률은 72.5%로 
전년 대비 15.6%p 대폭 상승했고, 
인터넷 이용자 중 80.3%가 
최근 1년간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6세~19세 이용률은 
전년대비 대폭 상승해(43.2%p↑) 
10명 중 9명 이상이 전자정부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30대·40대는 10명 중 8~9명이, 
60대 이상은 10명 중 2명 미만이 
이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률은 
전자정부 이용자 중 57.8%로 
전년대비 4.9%p 상승했고, 
특히 60세~74세는 이용률이 
전년도 대비 대폭 상승(31.3%p↑)한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대에서 
전자정부 서비스가 모바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의 주된 
목적은 ‘정보검색 및 조회(79.2%)’와 
‘각종 행정/민원서류 신청, 열람, 
교부(67.3%)’로 조사됐다.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목적도 
‘정보검색 및 조회(87.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 ‘공공서비스 
예약·신청(64.1%)', ’행정/민원서류 
신청·열람 및 교부(35.4%)‘ 등으로 
조사됐다.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도 85.8%로 
전년 대비 2.1%p 상승했고, 
‘만족’의 이유로는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가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불만족’의 이유로는 ‘서비스가 어렵고 
복잡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 16세~19세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만족’ 비율은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불만족 이유인 
‘서비스가 어렵고 복잡했다(47%)’임에도 
불구하고, 10대의 모바일 등 스마트기기의 
활용능력이 타 연령층보다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60세~74세 연령층 전자정부서비스 
만족도가 80.4%로 타연령층 만족도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13년과 동일하게 
’14년도에도 ‘개인정보보호 등 
보안강화(46.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요 민원업무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39.8%),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38.5%), 
‘최신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37.6%) 등 
순으로 30%이상의 의견이 조사됐다.

박제국 행정자치부 전자정부국장은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확대를 위해 
앞으로도 모바일 서비스 확대 등 
서비스 채널의 다양화,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특히, 전자정부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오프라인 서비스와 온라인 서비스의 
선택적 이용을 할 수 있도록 옴니채널 
서비스 및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빅데이터 분석 및 
SNS 등 집단지성 활용 등을 통해 
복잡한 사회 갈등과 현안을 국민과 
함께 해결하는 등 국민 개개인의 
가치 실현과 행복 달성을 지원하는 
디지털 정부로의 도약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조사 결과는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일반에 공개하고, 전자정부서비스 
이용현황 등의 주요 지표는 OECD 등 
국제기구에 제공되어 국가 간 전자정부 
수준 비교·평가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담당 : 전자정부정책과 조성하 (02-2100-2928)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