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월 10일 화요일

위급상황 시 버튼 하나로 119신고 끝

위급상황 시 버튼 하나로 119신고 끝

재난취약계층 119간편신고서비스 
3월중 확대 시행

          행정자치부     등록일    2015-03-10



위급상황 발생시 제대로 된 신고를 
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장애인, 
노약자, 이주여성 등 이른바 
재난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긴급신고 서비스’가 이달 중 
확대 시행된다.

행정자치부와 전라북도는
『정부3.0 브랜드과제』로 추진해 온
‘재난취약계층 119간편신고 서비스’를 
3월 중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또한, 5월경에는 경상북도에도 동 
서비스를 확산하는 등,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119 간편신고 서비스’는 화재나 
구급 등 위급상황 발생 시 
유형별 음성이 탑재된 전화기 
단축버튼 기능을 사용해 별다른 
의사소통 없이 버튼 한번에 
119 신고가 가능한 서비스다. 
전북소방본부가 전북농아인협회 및 
이주여성지원센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청각장애인, 독거노인, 이주여성 등 
취약계층이 위급상황 시 
간편·신속하게 119에 신고할 수 있도록 
‘간편신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고 받은 119상황실 모니터에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정보와 병력정보, 
장애유형 등이 자동 표출되고, 
보호자나 이웃 등에게 전달돼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구조 활동이 
가능하다.

전라북도는 ‘14년말 기준 
도내 700여 가구에 간편신고 
전화기를 설치했고, 실제로 
총 35건의 신고전화를 접수, 
긴급출동을 함으로써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에 올해 3월에는 700여 가구에 
추가로 확대 설치하고 이후에도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단말기 
디자인 개선에 대한 국민디자인단 
아이디어를 반영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 개선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정책 설계과정에서 
공무원들만의 노력으로 전화기 보급이나 
가입자 유도 등이 쉽지 않음을 인식하고 
국민과 함께 정책을 만드는 행정자치부 
「정부3.0 브랜드과제 국민디자인단 활동」
(‘14.8~10월)을 통해 개선됐다. 
마을회관 등 공동이용시설을 활용해 
서비스 홍보수단을 개선하고, 농아인협회 등 
관련 단체와 협업을 통해 전화기 
보급방법을 확산하는 등 취약계층 
중심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반영해 
나가고 있다.

행정자치부와 전라북도는 
정부3.0을 통해 모든 국민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든다는 목표로 정책을 
국민관점에서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국민참여를 통한 정부3.0 정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행정자치부는 국민과 함께 정책을 
설계하고 추진하는 지자체 국민디자인 
활동을 정책이슈 발굴 단계부터 
기획·집행과정까지 확대해 수요자 
관점의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 
전라북도는 모든 국민이 긴급사고 시 
누구나 손쉽고 신속하게 보호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동 사업을 추진하고, 
타 시도에도 추진 노하우를 적극 지원해 
벤치마킹을 지원ㆍ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담당 : 정부3.0 브랜드과제 발굴홍보단 장헌범 (02-2100-4460)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