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30일 일요일

남경필 지사, 2016년도 생활임금 시급 7,030원 결정

남경필 지사,
2016년도 생활임금 시급 7,030원 결정

○ 시급 7,030원
-16년 최저임금 대비 17%인상,
 15년 생활임금대비 3.2%인상
○ 산정기준
- 15년 상반기 근로자평균임금의 50%와
   15년 상반기 道생활물가지수 60%반영
○ 수혜대상 : 기간제 근로자 751명
    (도437, 출연·출자 314)
-道 437명 : 단순노무, 가축방역,
  숲해설사 등 기간제 근로자
-출연출자 314명 : 사무보조원 등 기간제 근로자
○ 임금인상 효과
- 16년 최저임금 대비 월급여 기준 20만 9천원 상승
   15년 생활임금 대비 월급여 기준 4만 6천원 상승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30일
경기도 생활임금위원회가 제시한
의견을 받아들여 2016년도 경기도
생활임금 시급을 7,030원으로 결정했다.
올해 생활임금 6,810원보다 3.2% 상승한
금액이다.
16년 생활임금 시급 7,030원은
16년 최저임금 6,030원 대비 17% 높은
금액이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146만 9천 원
(7,030원 × 209시간)으로 최저임금 보다
월 20만 9천원, 15년 생활임금 월급보다
4만 6천원이 많다.
경기도생활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과,
공공‧민간‧OECD 등 국제기구의 임금가이드라인
등을 고려해, 15년 상반기 근로자
평균임금 50%인 1,361,024원,
15년 상반기 경기도 생활물가지수의
60%인 108,609원을 반영해 생활임금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2016년 경기도 생활임금의
수혜를 받는 근로자는 도 소속 기간제 근로자
437명과 출연.출자기관의 314명 등 모두
총 751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지난 5월 개정된 생활임금조례에
따른 것으로 해당 조례는 생활임금
지급대상자를 도 소속 근로자에서 도 및
출연·출자기관 소속으로 확대했다.
올해 경기도 생활임금 수혜를 받은
근로자는 도 소속 기간제 근로자 401명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각계·각층의
합의와 양보로 시행 된 경기도 생활임금제도가
이제 정착과 확산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면서 “경기도 생활임금이
좀 더 많은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폭제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확정된 2016년 생활임금은 내
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한편, 경기도는 공공부문 생활임금 제도
확산을 위해 도 31개 시군에 생활임금
시행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내년도 시·군 종합평가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 생활임금위원회는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총 9인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조승현 도의원을 위원장으로, 노사대표2,
근로자임금관련 전문가2, 주민 대표,
비정규직 대표로 구성된 위촉직 위원 7인과
경기도 경제실장과 노무사가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생활임금이란 주거비, 식료품비, 교통비,
문화비, 의료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노동자에게 최저임금보다 높은 적정한
수준의 임금을 지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임금체계를 말한다.
경기도 생활임금은 지난해 7월 광역지자체
최초로 조례가 제정됐지만 파행을 겪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경기도의회간
연정합의를 통해 올해 3월 1일 시행됐었다. 


문의(담당부서) : 공정경제과
연락처 : 031-8030-2592
입력일 : 2015-08-30 오전 10:08:45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