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17일 화요일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부터 행정자료 중심으로 전환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부터 행정자료 중심으로 전환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3-12-17



인구주택총조사가 그동안 조사원이
집집마다 방문하는 현장조사 방식에서
2015년부터는 행정자료 중심의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바뀐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부터
안전행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12개 기관과 주민등록부 및 건축물대장 등
18종의 행정자료를 서로 연계ㆍ활용하는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작성한다"고 17일 밝혔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전 국민(100%)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100%)와 표본조사(10%)로 
진행됐는데, 2015년부터 전수조사는 
등록센서스로 대체하고 전 국민의 20%를 
대상으로 표본조사(20%)만 
실시하는 것이다.

다만, 행정자료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심층항목을
제공하고자 표본조사는 기존처럼 현장조사
방식으로 한다.

통계청은 "최근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늘고
응답자의 사생활 보호 의식이 강화되는 등
현장조사 여건이 계속 악화돼 전수조사에 따른 
비용이 크게 증가한 반면, 행정자료는 대규모로
전산화되면서 통계자료로 활용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1981), 핀란드(1990), 스페인(2001),
독일(2011) 등 선진국은 이미 등록센서스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기재부는 "인구주택총조사에 등록센서스
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약 1300억원 이상의
관련 예산을 줄이고, 조사에 대한 국민들의
부담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에 가구주택기초조사를 통해
행정자료의 오류를 사전 점검하는 한편,
행정자료 정비 등을 위해 관계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문의. 기획재정부 예산실 예산관리과(044-215-7194)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