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27일 금요일

2020년 11월 26일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 -

2020년 11월 26일 통화정책방향 


        한국은행          등록일    2020-11-26



[참고]

2020년 10월 14일 통화정책방향 

-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게 된 배경은

https://gostock66.blogspot.com/2020/10/2020-10-14_14.html


2020년 10월 14일,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 참고자료 

https://gostock66.blogspot.com/2020/10/2020-10-14.html



통화정책방향


□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0.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 세계경제는 회복 흐름을 이어갔으나 

그 속도는 코로나19 재확산 지속의 영향 등으로 

더딘 모습을 나타내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백신 개발 기대, 

경제지표 개선 등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완화되면서 

주요국 주가와 국채금리가 상승하였으며, 

미 달러화가 약세를 나타내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코로나19의 재확산 정도와 

백신 개발 상황, 각국 정책대응 및 

파급효과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 국내경제는 

완만하게 회복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 등으로 

더딘 회복 흐름을 보이고 

건설투자 조정이 이어졌으나, 

설비투자가 회복 움직임을 나타내었으며 

수출은 개선 흐름을 지속하였다. 


고용 상황은 

큰 폭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계속 부진하였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 타낼 것으로 예상되나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GDP성장률은 금년중 –1%대 초반, 

내년에는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공공서비스가격의 큰 폭 하락 등으로 

0%대 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근원인플레이션율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으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대 후반에서 소폭 하락하였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인플레이션율은 

당분간 0%대 초중반 수준에 머물다 

점차 높아져 내년중 1%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금융시장은 

국제금융시장 움직임, 

경제지표 개선 등에 영향받아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원/달러 환율은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장기시장금리는 상승하였다.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확대되었으며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오름세를 지속하였다.


□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의 회복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전개상황과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그간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