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21일 금요일

담배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 수제(手製)담배 규제 등 답배사업 관리 사각지대 해서 -

담배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 수제담배 규제 등 담배사업 관리 사각지대 해소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8-09-21


□ 기획재정부는 2018. 9. 21.(금)
담배사업 관리 사각지대 해소,
담배사업법 운영상 나타난 문제점 개선 등을 위한
담배 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입법예고했다.

ㅇ 이번 개정법률안은
    담배사업법이 적용되지 않는 수제담배 출현,
    담배사업자의 소비자 대상 판촉행위 등과 같은
    담배사업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ㅇ 담배사업법상 각종 신고제도,
    소매인 우선지정제도,
    화재방지성능인증제도 등과 같이
    운영과정에서 불합리하거나
    법적 근거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난 사항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 그간 언론의 지적내용,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마련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담배사업 관리 사각지대 해소 ]

󰊱 영리목적으로 소비자에게 담배제조장비 제공 행위 금지

ㅇ 수제담배는 “담배성분 등의 표시”,
    “화재방지성능인증” 등 
     현행 담배사업법 규정 미적용으로 국민건강피해,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아

- 담뱃잎 판매점 등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담배제조장비를 제공하는 행위는 할 수 없도록 하고,
  이를 위반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였다.

󰊲 소매인 대상 판촉행위 제한을 소비자까지 확대

ㅇ 현재 담배 제조업자·수입판매업자 및
    도매업자가 소매인을 대상으로 하는
    판촉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최근 담배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판촉행위가 이뤄지고 있어

- 담배소비 억제를 위해
  담배 제조업자·수입판매업자, 도매업자 및
  소매인이 소비자 대상으로 담배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금품 등을 제공하는 행위를 금지하였다.

󰊳 소매인의 명의 대여 금지

ㅇ 현재 소매인 명의를 빌려 담배 판매를 하는 자는
    처벌 대상이나 명의를 빌려 준 자에 대해서는
    처벌 규정이 없어 형평성에 어긋나므로

- 소매인 지정을 받은 자가
   타인에게 명의를 빌려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위반 시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였다.

[ 신고제도 합리화 및 제도 정비 ]

󰊱 담배사업법상 신고사항에 대하여 수리 근거 명시

ㅇ 담배사업법상 신고 사항(담배제조업 양도·양수,
    담배판매업 등의 휴업·폐업, 담배 가격 신고)은
    실질적으로 수리절차가 필요하나 명시된 규정이 없어

  - 관리·감독 기관이 관련 신고 내용의 적정성과
    제출서류 확인 등 수리과정을 거쳐
    효력이 발생하도록 근거를 마련하였다.

󰊲 소매인 제도 등 정비 

ㅇ 하위법령에 근거하여 운영 중인
    “국가유공자·장애인 또는 그 가족”에 대한
    소매인 우선지정 근거를 법률에 명시하고,
    법규정 없이 유권해석으로 시행중인
    소매인 지위 승계 금지를 법으로 규정하였다.

ㅇ 담배제조업자 및 수입판매업자는 제조 또는
    수입하는 담배에 대해 화재방지성능인증을
    반기별로 받고 그 인증서를 기획재정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나 제출시기가 불명확하고
    제출기관도 실제 관리·감독기관과 일치하지 않아

- 제출시기를 “매 반기 종료일”로 명시하고,
   제출기관도 수입판매업자는
   관리·감독기관인 시·도지사로 변경하였다.

□ 이번 담배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입법예고 기간 동안 국민과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규제 심사 및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정부안을 확정하여
금년 말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