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3일 일요일

정부3.0 국가 중점데이터 조기개방, 국민편의 돕는다.

정부3.0 국가 중점데이터 조기개방, 
국민편의 돕는다.

        행정자치부    등록일   2016-04-03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국민이 체감하는
정부3.0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해 ‘국가중점데이터’
22개 분야를 올해 조기 개방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7년까지 36대 분야를 개방하는
「국가 중점데이터 개방계획」을 수립하였고,
지난해 부동산·건축·상권정보 등 11개 분야
개방을 완료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식의약품종합정보·국가통계정보 등 10개 분야를,
하반기에는 조달정보·국가재난정보 등 12대 분야를
개방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총 33개 분야의
개방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 3월까지
▲지방재정정보(행정자치부),
▲식의약품종합정보(식품의약품안전처),
▲부동산거래관리정보(국토교통부),
▲법령정보(법제처) 등 4개 분야 개방을 완료했고,
개방 규모는 대용량 파일데이터 및
오픈에이피아이(API) 서비스 82종,
총 1천400만 건이다.

개방된 데이터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행정자치부가 개방한 지방재정정보는
지방자치단체 및 각 시도 교육청의 예산편성,
집행, 결산 등 재정 순기별로 발생되는
지방재정정보 69종, 총 150만여 건을
전면 개방했다.

어렵고 복잡한 지방재정정보를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정현황, 재정건정성 등
테마별 그래프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내가 사는 지역의 예·결산현황,
세출예산운용상황 등 지역 전반의 살림살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의약품허가정보, 희귀의약품정보 등
식의약품 관련 6종, 총 33만5천여 건을 개방했다.

국민들은 건강과 식생활에 밀접한 식품이력,
의약품, 의료기기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공개된 식의약품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앱·웹 서비스와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가전제품 개발이 활발해 질 것으로
보인다.
개방에 따른 기업의 식의약품 품목제조보고 등
업무절차 간소화로 연간 80억 원의
비용 절감도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2006년부터 각 시·군·구청에서
부동산 매매계약시 신고된 아파트, 다세대,
단독주택 등 유형별 부동산실거래가
약 1천3백만 건을 전면 개방했다.

지금까지는 부동산 별로 실거래가를 조회하거나
월별로 내려받기만 가능했지만, 이번 실거래가의
전면 개방으로 부동산 중개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은 물론 원하는 지역의 부동산
실거래가(매매, 전월세 등)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돼 손쉬운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법제처는 기존에 개방된 법령, 행정규칙,
자치법규 등 법령정보에 추가로 법령과
자치법규 간의 연계정보 1,500건을 개방했다.

이에 따라 국민 누구나 쉽게 법령정보를 활용해
평소에 몰라 지나쳤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자신이 사는 지자체의 불합리한 조례사항을
확인하고 개선을 요구할 수 있게 됐다.
개방된 모든 정보는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내
‘국가중점데이터’ 메뉴에 접속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전성태 행정자치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이번 개방을 시작으로 국가중점 데이터 개방이
차질없이 진행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간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나아갈 계획”이라며,
“정부3.0 국가중점 데이터를 활용한 국민생활
맞춤형 우수사례가 보다 많이 발굴되어,
국민 생활 편의는 물론 민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전했다.

담당 : 공공정보정책과 오연순 (02-2100-3452)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