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19일 금요일

메르스 퇴치에 동네 병·의원, 약사 등 모든 의료인 참여

메르스 퇴치에 동네 병·의원, 약사 등
모든 의료인 참여

○ 21일 경기도청에서 범의료인 결의대회 추진키로
○ “의사회, 간호사회, 약사회 등
    모든 의료인 함께 메르스 공동 대처하자” 뜻
○ 동네 병의원과 약국은 메르스
   경기도 외래거점병원 안내 역할 맡을 것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현재 도가 구축하고
있는 민·관 의료 네트워크의 범위를
동네 병·의원과 약국으로 확대해 메르스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오는 21일(일) 이에 동참하는 의료인과
함께하는 (가칭) ‘범의료인 결의대회’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기우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는
18일 오후 2시 브리핑을 통해 “오전에 열린
4차 의료위원회 결과, 메르스 안전망 구축에
의사와 간호사, 약사 등 의료인 전체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오는 21일(일) 도청에서 의사회,
간호사회, 약사회 등 모든 의료인이
메르스 공동대처에 함께 하자는 뜻으로
(가칭)‘범의료인 결의대회’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회통합부지사는 이어 “어젯밤
경기도의사회와 간담회를 가진 결과
도의 민·관 네트워크시스템이 개인병원과
약국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동네 병·의원과
약국까지 메르스 상황을 공유하고
전 의료인이 메르스에 공동 대처하자는
것이 이날 행사의 주요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동네 병·의원과 약국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이 부지사는 “일반 환자의 진료과정에서
메르스 증상이 의심될 경우 41개 경기도
외래거점병원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부지사는
“보건소가 일반 진료보다는 감염차단과
모니터링 대상자 역학관리에 주력하도록
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이 부지사는 이날 다른 지자체의
메르스 확진환자를 경기도가 받아들이는
문제에 대한 배경설명도 덧붙였다.
그는 “경기도와 달리 다른 지자체에는
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는 데 필요한
격리병실과 음압병실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의료위원회는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큰 틀의 협조를 하기로 했고, 실제 가용
병실과 환자 상태, 후속 조치 등 여러 면을
고려해서 수용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담당 : 서근익(031-8008-4755)


문의(담당부서) : 보건정책과
연락처 : 031-8008-4755
입력일 : 2015-06-18 오후 5:08:09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