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월 25일 수요일

공공기관 130곳,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으로 올해 3000명 채용

공공기관 130곳,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으로 
올해 3000명 채용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3-03-24




정부가 청년들의 스펙 쌓기 부담을 덜어주고
교육ㆍ훈련과 현장 직무가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부터 선도적으로
직무능력중심의 채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김재춘 교육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130개 공공기관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가졌다.

130개 공공기관은 올해 중 정부가 개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채용
모델을 적극 도입하고, 직무능력중심의
채용을 진행하기로 했다.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을 정부가
 산업 부문별ㆍ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이다.

직무능력중심 채용은
불필요한 스펙(Over-spec)보다
해당 직무에 맞는 스펙(On-spec)을 갖춘
인재를 NCS 기반의 평가 툴(tool)을 활용해
선발하는 방식이다.

직무능력중심의 채용 모델을 이미 도입한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30개 공공기관은
올해 서류 및 면접전형 등을 통해
NCS 기반의 채용을 진행한다.

한국전력공사와 한국도로공사 등
100개 공공기관은 올 상반기 중 컨설팅을
실시한 뒤, 하반기에 직무능력중심의
서류 및 면접전형을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필기전형의 경우 취업준비생의
준비기간을 고려해 기관별 개편 내용을
미리 공고한 후 1년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30개 기관은 내년 하반기에,
100개 기관은 2017년 상반기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전체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인원 1만7000여명 가운데
직무능력중심 면접 등을 통해 3000여명이
채용될 전망이다.

정부는 NCS 기반 채용에 대한 취업준비 
매뉴얼, 면접 및 문제 샘플 등의 자료는 
NCS 포털(http://ncs.go.kr)에 게시하고, 
각 학교 및 취업준비기관에 직접 배포하기로 
했다.

또 3~4월 중에는 권역별로 직무능력중심과
관련한 채용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공공기관에 직무분석 및 채용도구 개발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고, 인사담당자 교육과
채용 매뉴얼 제작 및 보급에도 나선다.
학교와 직업훈련기관에서 직무능력중심의
교육과정 개편도 지원한다.
기재부와 교육부, 고용부는 공공기관과 함께
정례적인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MOU 이행에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현재 고용시장에는
천편일률적인 스펙 쌓기로 사회적
낭비가 심각하다"면서 "스펙을 넘어
직무능력중심으로 가는 NCS의 정착에
 공공기관이 선도적 역학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 인재경영과(044-215-5574)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다운로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 참고자료 한글문서 다운로드 참고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참고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