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3일 목요일

한ㆍ중, '창조경제ㆍ혁신'에 기반한 포괄적 경제협력 확대


한ㆍ중, '창조경제ㆍ혁신'에 
기반한 포괄적 경제협력 확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4-07-03



한국과 중국이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고자 창조경제와
혁신에 기반을 둔 포괄적 경제협력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쉬 샤오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은 3일 청와대에서 열린
한ㆍ중 정상회담 직후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창조 및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기재부와 국가발전개혁위는
"한국의 창조경제와 중국의
혁신(創新)은 개념이 서로 비슷해
협력을 통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창업투자, 도시화,
에너지 절약, 기후변화 등의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하고 협력을 내실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우선 '새만금 한ㆍ중 경제협력단지'의
개발과 관련해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새만금 한ㆍ중 경제협력단지는
산업기능을 중심으로
교육ㆍ연구개발(R&D)ㆍ주거ㆍ상업이
조화된 자족적 융복합 도시로, 양국이
단지의 개발부터 도시형성 및 관리까지
공동으로 맡는다.

양국은 또한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이
역내 국가의 공동 번영 및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에 최적화된 협의체임을
강조하면서, 향후 동북아 지역의 발전을
선도하는 경제협력기구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

GTI는 동북아 지역의 경제개발을 위해
한국ㆍ중국ㆍ러시아ㆍ몽골 등 4개국이
참여하는 지역협력체다.
오는 2016년 가칭 '동아시아 경제협력
기구'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수출입은행과 중국수출입은행도
초대형 에코쉽(Eco-ship) 프로젝트
금융계약을 체결했다.

금융계약은 양국 수출입은행이 협조해
대우조선해양과 중국민생리스 간 3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선박건조 계약에
2억9500만달러의 선박금융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는 지난해 정상회담 당시 체결한
'상호 리스크 참여약정'에 따라 양국
수출입은행이 사업리스크를 공동 분담해
적극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출을 성사시킨
첫 성과다.

기재부는 "그동안 양국은
'한ㆍ중 경제장관회의'를 통해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해 왔다"며 "이번 MOU로
양국 간 경제협력이 더욱 공고해지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대외경제총괄과(044-215-7611),
통상정책과(7672), 남북경제과(7752)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