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3일 월요일

해외 IB 및 주요 외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긍정적' 평가


해외 IB 및 주요 외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긍정적' 평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4-03-02



한국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성공하려면
이해관계자 간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는
해외 투자은행(IB)들의 조언이 나왔다.

또 주요 외신들은 "한국 정부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임기 내에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선 정치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획재정부는 2일 "해외 IB 및 주요 외신들이
우리 정부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JP 모건(Morgan) 등 해외 IB들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한국의
장기 성장을 위한 적절한 추진체계"라고
평가했다.

바클레이즈(Barclays)도 "한국의 정책방향이
단기 경기진작이 아닌 구조개혁으로 과감하게
전환됐다"며 "한국은 투자 확대에 따른
성장 가속화로 2017년까지 4% 잠재성장률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크레디트 스위스(Credit Suisse) 등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서비스업 및 기업투자 관련 규제 완화
△공공부문 개혁
△노동생산성 제고와 관련한 정책에
주목했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내수ㆍ수출 간 균형 등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구조개혁 방안과 비슷하지만,
중국보다 더 많은 제약에 맞닥뜨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바클레이즈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성공 요건으로 '정부부처 간 협업을 통한
구체적 조치들의 신속한 이행'을,

JP 모건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갈등 해결'을
언급했다.

블룸버그(Bloomberg) 등 주요 외신들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한국 경제에
필요한 정책이며 장기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과감한 구조개혁"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는 "서비스산업 활성화는
한국경제의 수출 의존도를 낮춰 잠재성장률
목표치인 4%까지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일본 외교전문지 디플로맷(Diplomat)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한국의 경제성장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는 주요 도전과제에 대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있다"고 소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아시아와 세계경제에 새로운 성장모델이
될 수 있는 개혁 패키지"라면서 "민간 주도의
성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한국경제의
현 발전단계에 맞는 올바른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WSJ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일본 아베노믹스의 구조개혁 정책과 비교하면서
"두 정책이 비슷하나 한국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더 포괄적이고 실행 가능하며, 실행하고자 하는
정치적 의지와 목표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생산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고
구체적인 개혁정책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아베노믹스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국제금융과(044-215-4715)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