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월 4일 화요일

2014년 2월 소비자물가 1.0% 상승…전반적인 안정세 지속



2월 소비자물가 1.0% 상승…
전반적인 안정세 지속
- 2월 소비자물가 동향…
  "석유류ㆍ농산물 가격 안정세 유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4-03-04



2월 소비자물가가 계절적 요인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및 가공식품 가격 인상
등에도 1%대 안정세를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전달보다 0.3% 올랐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1%대
등락을 거듭하다 10월 0.9%를 기록한 뒤,
11월 이후 4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이어오고 있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 올라
0%대 안정세를 지속했다.
신선식품물가는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내리며
 전년동월대비 12.4% 하락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식료품ㆍ에너지 제외지수는 작년 2월과 비교해
각각 1.7% 및 1.4%씩 상승했다.

부문별 동향을 보면,
축산물(-0.4%) 가격은 다소 내렸으나
농산물(2.0%)과 수산물(1.0%) 가격이
오르며 전달보다 1.1%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풋고추(34.2%)ㆍ
피망(31.9%)ㆍ생화(23.9%)ㆍ오이(10.1%) 등은
전달보다 가격이 오르고,

딸기(-10.3%)ㆍ달걀(-2.9%)ㆍ
양배추(-10.4%)ㆍ당근(-9.2%)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 중 석유류(-0.3%) 가격은 내린 반면,
가공식품(0.9%) 가격은 오르면서 전체로는
전월대비 0.3% 상승했다.

전기ㆍ수도ㆍ가스 및 공공서비스는
전달과 비교해 변동이 거의 없었다.

집세는 전달보다는 소폭(0.2%) 올랐으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전달보다 외식비는 0.3%,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0.1% 올라 전체로는 0.2%
상승했다.

기재부는 "앞으로 물가는 당분간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지난해 3월 물가가
예년보다 낮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3월부터는 다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및 기상악화에 따른
농산물 수급불안 가능성 등 물가 불안요인도
잠재한다"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불안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구조개선 노력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044-215-2772)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