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월 4일 화요일

2014년 01월 소비자물가 1.1%↑…1%대 초반 안정세 지속

1월 소비자물가 1.1%↑…
1%대 초반 안정세 지속
- 1월 소비자물가 동향…
   "설 주요 성수품 가격 안정 영향"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4-02-04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달과 같은 1% 초반대를 이어갔다.

기획재정부는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분석한 자료에서 "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올랐다"
밝혔다.

소비자물가는 작년 1월부터 9월까지
1%대 등락을 거듭하다 10월 0.9%를 기록한 뒤,
11월 이후 1%대 상승률을 이어오고 있다.
 전월대비로 보면 0.5% 상승했다.

기재부는 "1월 소비자물가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및
연초 서비스요금 상승 등에도 1%대
안정세를 지속했다"며 
"농축수산물의 경우
동절기 기온하락으로 일부 시설작물의
가격이 올랐으나 상승률은 예년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작년 가을 작황호조로 사과ㆍ배 등
설 주요 성수품에 대한 공급이 충분해
가격이 안정됐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6% 상승했다.
신선식품물가는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내리며 전년동월대비 12.9%
 하락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식료품ㆍ에너지 제외지수는
작년 1월과 비교해 각각 1.7% 및
 1.5%씩 상승했다.

부문별 동향을 보면,
축산물(-0.5%) 가격은 다소 내렸으나
농산물(4.0%)과 수산물(0.2%) 가격이
오르며 전달보다 2.0%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가운데
호박(42.2%)ㆍ풋고추(39.5%)ㆍ생화(15.2%)ㆍ
토마토(13.2%)ㆍ오이(12.5%) 등은
전달보다 가격이 오르고,
돼지고기(-3.9%)ㆍ당근(-18.6%)ㆍ
파(-10.1%)ㆍ무(-9.8%)ㆍ굴(-9.5%)ㆍ
양상추(-11.1%)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 중 석유류(1.2%) 가격은
오른 반면, 기타 공업제품(-0.7%) 등은
내리면서 공업제품 전체로는
전월대비 0.2% 상승했다.

전기ㆍ수도ㆍ가스는
도시가스요금 인상 여파로
전달보다 2.3%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2014년 의료수가 인상의
영향을 받으며 전달보다 0.6% 올랐다.

집세는 전달보다는 소폭(0.2%) 올랐으나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비는 꾸준히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였으나,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단체여행비(해외 4.5%)와
가전제품 수리비(5.0%) 등이 오르며
전월대비 0.6% 상승했다.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전년동월대비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대전(0.6%), 강원ㆍ
전북(0.7%), 울산ㆍ충남(0.9%) 등이었다.

기재부는 "앞으로 물가는 당분간
현재의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한파ㆍ폭설 등 기상여건에 따른 농축수산물
수급불안 및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등의
불안요인은 여전히 잠재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물가안정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도록 불안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구조개선 노력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044-215-2772)



첨부파일
  • 보도자료(통계청) 한글문서 보도자료(통계청)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통계청)
  • 보도자료(기재부) 한글문서 보도자료(기재부)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기재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