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16일 토요일

2013년(올해) 1월~9월 해외직접투자 258억달러…15% 감소


올해 1~9월 해외직접투자 258억달러…
15% 감소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3-11-14


올해 1~9월 해외직접투자(신고기준) 
금액은 258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05억달러)보다
1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에너지 공기업의 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고 전자부품 및
컴퓨터 부분 투자가 줄었기 때문"이라며
"광업투자를 제외하면 211억6000만달러로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14일 밝혔다.

투자자가 국외로 실제 송금한 금액을
기준으로 잡으면 168억7000만달러로
전년동기(176억1000만달러) 대비 4.2% 줄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14.6%)과
광업(-44.8%)이 전체적인 감소세를 이끌었다.
특히 광업은 에너지 공기업의 자원개발
투자가 저조했던 탓에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조업은 자동차제조업(21.4%)이 증가했으나,
전자부품ㆍ컴퓨터(-34.6%) 및 1차 금속
제조업(-17.6%)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년대비 14.6% 줄었다.

금융보험업(16.4%)과 부동산임대업(48.4%),
도소매업(12.3%)은 증가했다.
부동산임대업은 미국, 마샬군도,
룩셈부르크에 대한 투자가 늘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30.4%)ㆍ
북미(-13.9%)ㆍ대양주(-53.8%)는 줄어든 반면, 
중남미(59.1%)ㆍ유럽(17.3%)ㆍ아프리카(9.1%)는
늘었다.

대(對) 아시아 투자는 도소매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업종에서 크게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온
대 중국 투자가 올해 들어 격감했다.
제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인건비 상승 등 현지 투자환경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송금기준으로는
전년동기대비 46.0% 증가했다.

대 페루 투자는 민간기업의 유전개발 투자가
증가하면서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국가별
투자액 순위가 미국, 중국, 페루 순으로 재편됐다.
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 등
브릭스(BRICs) 국가에 대한
총 투자규모는 41억9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8.1% 감소했다.

기재부는 "올해 해외직접투자는 자원개발
투자가 급감한 영향으로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
거시경제환경의 악화 우려로 장기적 수익
목적인 자원개발 투자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국제경제과(044-215-7639)
작성. 기획재정부 미디어기획팀 곽승한(shkwak@mosf.go.kr)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