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29일 금요일

장래(2017년~20167년)인구추계 결과를 보면서

2019년 3월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2017년~2067년)인구 추계결과를 보면서
인구 감소가 본격적인 사회문제로 대두 되었음을
실감하게 하지요.

장래(2017년~20167년)인구 추계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3/201720167_29.html

[참고]
장래(2015년~2065년)인구추계 결과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7/03/blog-post_56.html

특히, 경기불황은 청년인구의 감소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우리는 일본을 통해서 배웠기에 인구 감소가 남의 일이
아니고요.

불황은 청년 인구감소로 부터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6/10/0_29.html

정부는 인구절벽(인구 감소)을 해결하기 위해서
130조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쏟아부었지만
인구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같은 상황이 정부가 고용(취업)회복을 위해서
54조원을 퍼붓었지만 취업자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고요.

우리는 일본의 예에서 봤듯이,
수 없이 많은 돈을 퍼붓어도 인구 증가와
고용(취업)회복이 이뤄지지 않음을 알고 있는데도
정부는 그들만의 인구 증가와 고용회복을 위해서
앞으로도 천문학적인 돈을 퍼붓겠지요.


[참고]
2019년 3월 27일 세계 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는
https://gostock66.blogspot.com/2019/03/blog-post_28.html


2019년 3월 28일 세계주요국증시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