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23일 금요일

2024년 2월 20일(화), 관계부처 합동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회의」 개최 - 금융위원회 김소영 부위원장 모두 말씀 -

2024년 2월 20일(화), 관계부처 합동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회의」 개최
▴2023년 가계신용은 
  전년대비 +18.8조원 증가(+1.0%)하여 
  과거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2년 연속 감소**가 예상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황
* 2023년 증가분 : 18.8조원 
  2013~2022년 연평균 : +90조원 내외, +6.8%
** 2021년 105.4% → 2022년 104.5% →
   2023년p 100.8%
▴2024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內’에서 철저하게 관리 
  1) 全금융권 긴밀한 소통 등 통해 
   가계부채 밀착관리
  2) 유관기관간 긴밀한 협의(주택금융
   협의체) 통해 정책모기지 공급속도
   관리
  3) 가계부채의 양적·질적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노력 일관되게 추진
▴가계부채 안정적 관리를 위해선 
  금융권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이 중요
 1) ‘지속가능한 성장’ 관점에서 
   금융권 스스로 가계부채 적정수준에 대한 
   고민 필요
  2) 불필요한 외형경쟁 지양, 
  3) 상환능력 내 대출원칙 일선현장에서 확립

        금융위원회        등록일   2024-02-20


[참고]
2023년 4분기 가계신용
(2023년말 가계부채, 가계 빚)은

2023년 3분기 자금순환은

2023년 9월 12일(수), 
관계부처 합동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 개최는

2024년 2월 20일(화) 
금융위원회(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는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은행연합회, 금융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3년 가계신용 현황 분석 및
  향후 가계부채 전망과 함께, 
▴정책모기지 취급현황을 점검하고, 
▴가계부채 정책제언, 
  민간 장기모기지 활성화 방안 등 
  가계부채 양적·질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 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날 발표된 
2023년 가계신용(한은) 증가폭은 
+18.8조원으로(전년대비 +1.0% 증가) 
과거 10년간(2013~2022년) 가계신용 
평균 증가액이 +90조원 내외
(동기간 평균 증가율 +6.8%)임을 
고려해볼 때, 예년대비 
매우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4년 2월 23일 금요일 증시현황

2024년 2월 23일 금요일 증시현황

[참고]
2024년 2월 22일 목요일 증시현황은















2024년 1월 고용동향 분석 - 2024년 1월 15세 이상 고용률(61.0%), 15~64세 고용률(68.7%), 경제활동참가율(63.3%) 모두 역대 최고 -

2024년 1월 고용동향 분석 
- 2024년 1월 15세 이상 고용률(61.0%), 
  15~64세 고용률(68.7%), 
  경제활동참가율(63.3%) 모두 역대 최고
- 2024년 1월 취업자수는 38만명
  (35개월 연속) 증가하며, 증가폭 확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4-02-16

[참고]
2023년 12월 14(목), 
일자리전담반(TF) 제12차 회의 개최는

2023년 12월 고용동향 및 
2023년 연간 고용동향 분석은


1. 2024년 1월 고용동향 특징
□ 고용률 61.0%(2024년 1월 역대 최고), 
  경제활동참가율 63.3%(1월 역대 최고), 
  실업률 3.7%, 
  확장실업률 10.0%(1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38만명 증가

□ (산업별) 제조업은 
  수출개선 등으로 증가세 지속 + 
  서비스업은 보건복지ㆍ전문과학ㆍ
  운수창고 중심 증가 + 건설업은 증가폭 확대
□ (지위직업)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 청년층 고용률 지속 증가
□ (연령)청년층 포함 
全 연령계층 고용률 상승 + 인구증가로 
고령층 취업자수 증가

2. 평가ㆍ전망 및 대응방향
□ (평가ㆍ전망) 기저효과에도 불구 
견조한 흐름 지속

□ (대응방향) 
고용동향 모니터링 지속+민간 중심 
일자리 창출 노력








2023년 12월 고용동향 및 2023년 연간 고용동향 분석

2023년 12월 고용동향 및 
2023년 연간 고용동향 분석
- 2023년 고용률ㆍ실업률은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고ㆍ최저
- 2023년 12월 취업자수는 28.5만명
  (34개월 연속) 증가하며, 
  연간 32.7만명 증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4-01-10

[참고]
2023년 11월 고용동향 
- 2023년 11월 고용률은 63.1%로 역대 최고, 
  실업률은 2.3%로 역대 최저 
- 취업자수 증가는 27.7만명(33개월 
  연속 증가)으로 1~11월 평균 33.1만명 증가는

■ 2023년은 
고용률(15세 이상 62.6%, 15~64세 69.2%), 
경제활동참가율(64.3%), 
실업률(2.7%) 모두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ㆍ최저를 기록하며 
견조한 고용흐름을 지속하였다.

□ 2023년 12월 
고용률(15세 이상)은 61.7%로 
12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고, 
취업자수는 34개월 연속 증가(28.5만명)하며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 2024년 고용률(15세 이상)은 
62.8%(+0.2%p)로 ‘23년 대비 개선되나, 
취업자수 증가폭은 장기추세로 복귀하며
2023년 대비 둔화(+23만명)될 전망이다.

정부는 일자리 전담반(TF) 중심으로
고용여건 및 리스크요인을 
상시 예의주시하는 한편, 
민간 중심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다.









반도체핵심공정, 포스트IPO, KoAct 배당성장,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글로벌비만산업TOP2+, 거래소 신규상장(2024년 2월 27일)

HANARO 반도체핵심공정, 
UNICORN 포스트IPO, 
KoAct 배당성장,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 
KBSTAR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KBSTAR 글로벌비만산업TOP2+, 
거래소 신규상장(2024년 2월 27일)

     한국거래소       등록일   2024-02-23













놀라운 미국증시 그리고 일본 증시와 엔비디아(Nvidia)

미국 증시와 일본 증시가 연일 상승하여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참가하지 못한
투자자들에게는 소외감을 주고 있고,
한편으로는 부러움을 갖게 하고 있지요.

특히, 중국과 홍콩을 비롯한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게는 더욱 더 소외감을 느끼게 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증시를 보고 있노라면
한가닥 희망을 갖을 수도 있고요.

안타까운 것은, 미국과 일본 증시가
시가총액 상위종목, 그중에서도 엔비디아(Nvidia)를
비롯한 A.I.나 반도체 등등의 종목들만 상승하면서
미국이나 일본 증시 투자자들 모두가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자료=tradingview]

저를 비롯한 상당수의 개미투자자들은
지금이라도 미국이나 일본 증시에 투자를 해야하나
고민하고 있을텐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참고]
2024년 2월21일 수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는


2024년 2월 22일 목요일
세계주요국증시 현황과 시장지표[자료=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