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10일 수요일

2023년 4월 고용동향, 4월 기준 역대 최고 고용률(62.7%).경활률(64.4%) 및 역대 최저 실업률(2.8%) 달성, 양호한 고용흐름 지속

2023년 4월 고용동향
- 2023년 4월 기준 역대 최고 고용률(62.7%).
  경활률(64.4%) 및 
  역대 최저 실업률(2.8%) 달성, 
  양호한 고용흐름 지속
- 취업자수는 26개월 연속 증가하며
  2023몀 1∼4월 평균 
  전년 동월대비 +38.6만명 증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23-05-10

[참고]
2023년 3월 고용동향은

2019년 4월 고용동향은

2018년 4월 고용동향은

2017년 4월 고용동향은

2016년 4월 고용동향은

2015년 4월 고용동향은

2014년 4월 고용동향은


2023년 4월 고용동향 상세 분석
1. 2023년 4월 고용동향 특징
□ 고용률 62.7%・
경제활동참가율 64,4%(4월 역대 최고), 
실업률 2.8%(4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35.4만명 증가

□ 대면활동 재개 및 소비・관광 회복 등에
따른 서비스업 중심 취업자수 증가 + 
제조업 경기둔화 영향으로 
취업자수 감소 지속

□ 일ㆍ육아 병행 여건 개선, 
인구영향 등으로 여성・고령층 중심 
취업자 증가 지속, 
청년층은 기저효과・인구감소 등으로 감소

□ 상용직・전일제(36시간 이상) 중심 증가, 
임시직・일시휴직자 감소

2. 2023년 4월 고용동향 평가・전망 및 대응방향
□ 고용지표는 견조한 흐름, 
향후에도 취업자수 증가폭은 
크게 둔화되지 않을 전망, 
but IT 부문 중심의 제조업 경기부진 등 
불확실성도 상존

□ 고용동향 모니터링 +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민간 중심 고용창출 지원

2023년 4월 고용동향 특징 (고용노동부)
1. (총괄) 고용률 상승, 취업자수 증가, 
  실업률 하락하는 등 양호한 흐름 지속

2. (연령·성) 청년층 감소세 지속, 
   여성·고령층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3. (산업) 서비스업은 보건복지, 숙박음식 등
  중심으로 26개월 연속 증가하나 
  증가폭 둔화,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폭 확대

4. (종사상지위) 상용직 증가폭 소폭 둔화, 
   임시일용 감소, 자영업자 증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