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6일 수요일

경기도, 고양시 미래 청사진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수립(안) 승인

도, 고양시 미래 청사진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수립(안) 승인
○ 도,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수립(안) 승인
○ 계획인구 121만 5천명, 시가화용지 41.909㎢,
   시가화예정용지 33.738㎢, 보전용지 190.759㎢
○ 도시공간구조, 교통계획, 공원녹지계획 등 설정
○ 계획인구 부족 등으로 지연되었던 지역 현안사업
   단계적으로 본격 시작

문의(담당부서) : 도시주택과
연락처 : 031-8030-4143  |  2016.07.05 16:42





경기도는 고양시 미래도시 발전의 청사진인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 수립(안)’을 승인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2030년 고양도시기본계획’은
고양시에서 수립한 2030년까지의 장기적인
도시발전 로드맵이다.
기존계획인 ‘2020 도시기본계획’과 비교해
▲인구목표를 109만 9천명에서 11만 6천명이 증가한
   121만 5천명으로,
▲시가화용지는 5.314㎢가 늘어난 41.909㎢,
▲시가화예정용지 물량은 7.921㎢가 감소한 33.738㎢,
▲보전용지는 3㎢가 감소한 190.759㎢로 정했다.

도시공간구조는 기존 1도심(일산)에서
2도심(일산, 화정)으로 보완 설정해 고양시 내
일산지역과 덕양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한
여건을 마련했다.

교통계획에는 국가철도망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에서 제시된 도로 및 철도계획을 반영했고,
현재 간선도로망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
소통상태가 원활하지 못한 구간에 대한 개선차원에서
고양시 자체 가로망 2개소를 확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공원녹지계획에는 향후 모든 공공 및 민간개발사업 시
부족한 도시 내 공원 확충과 실질적으로
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1인당 공원면적 11.3㎡까지 확보하도록 제시했다.
아울러, 도시의 아름다운 경관 및 미관 유지를 위해
경관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은 물론,
기타 사회, 문화, 경제, 방재안전계획 등
각종 개발지표를 설정했다.

이번 기본계획에 확정에 대해 고양시 측은
향후 121만 5천명을 수용하는 자족도시 건설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특히, 그간 계획인구 및 시가화예정용지 부족 등으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던 각종 지역 현안사업들을
단계적으로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고양시 도시계획과는 이번에 승인된
도시기본계획을 시민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7월 중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람할 예정이다.

한편, 도시기본계획이란 도시지표 및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함은 물론, 생활권설정 및
인구배분계획을 통해 토지이용계획, 기반시설계획,
도심 및 주거환경 계획, 환경보전과 관리 등
도시전반의 장기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는
포괄적인 계획을 말한다.

담당자 : 도시주택과 신일중 (031-8030-4143)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