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5일 금요일

기록물로 살펴 본 우리나라 자원봉사 역사


기록물로 살펴 본 
우리나라 자원봉사 역사

12월 「기념일과 기록」 
‘자원봉사자의 날’

                 행정자치부    등록일    2014-12-04





12월 5일은 아홉 번째 맞는 
‘자원봉사자의 날’이다. 
이 날은 국민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자원봉사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2005년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1985년 UN 총회에서 12월 5일을 
‘세계 자원봉사자의 날’로 지정했고, 
우리나라는 2005년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제정 시 이를 준용해
‘자원봉사자의 날’을 정했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자원봉사자의 날’을 맞아, 관련 기록물을 
12월 5일부터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1960∼2000년대 영상 8건, 사진 16건 등 
총 24건으로 자원봉사자 관련 기념식과 함께 
국민들의 다양한 자원봉사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자원봉사자의 날 
제정 이전부터 어려움에 빠진 이웃을 
돕는 일에 적극 나섰다. 
봉사활동을 통해 보람과 기쁨을 찾고, 
국가의 대소사에 기꺼이 참여하는 국민의 
모습을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수재민을 돕기 위한 전국적인 구호의 손길과 
청년들의 농어촌봉사활동, 문맹퇴치활동, 
의료봉사활동 등 1950~70년대 우리 이웃의 
나눔과 봉사 모습이 영상과 사진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1993년 대전세계박람회 등 큰 국제행사를 
치르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국민들의 
열정적인 모습을 기록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특히, 2007년 충남 태안의 원유유출사고 때에는 
120만 명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태안의 기적’을 
함께 일구어 내기도 했다.

‘세계 자원봉사자의 날’ 지정 후 우리나라는 
1989년부터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이중 1996년에 열린 세계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 모습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전국 여성 자원봉사자 대회(1993), 
범죄예방 자원봉사 한마음 대회(1996), 
시민자원봉사헌장 선포식(1999) 등 
연이어 개최된 기념행사를 통해 자원봉사가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사회 전역에서 
헌신적으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자원봉사의 
발전에 기여해 온 자원봉사자들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담당 : 국가기록원 서은영 (042-481-6391)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