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5일 금요일

일자리 창출 및 복지투자 확대로 가계소득 증가

일자리 창출 및 복지투자 확대로 가계소득 증가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5-12-22




2014년 우리나라 
가계 평균 소득이 4767만 원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는 21일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완만한 경기 개선과 고용 호조와
복지투자 확대로 가계 평균 소득이
전년대비 2.3%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으로
2014년 취업자 수가 53만 3000명으로
2002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근로소득은 3128만원으로 
2013년보다 3.4% 늘어났다. 
기초연금 등의 시행에 힘입어 
공적이전소득도 239만원으로 13.2% 증가했다.

이와 함께 가구주 연령별 소득증가율에서는
기초연금 시행과 근로장려금 지급 확대로
60대 이상 고령층의 소득이
전년대비 6.7% 증가하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득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가계소득은
완만한 경기 개선과 고용호조,
복지투자의 확대 등으로 증가세가
지속됐다”며 “특히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따른 취업자 증가로
근로소득이 늘었다”고 평가했다.

소득분배지표를 보면 정부 정책에 의한
소득분배 개선 효과에 상대적으로
저소득층 순자산 증가율이 높은 상승을
보이며 지니계수 등 대부분의 지표가
2011년 이후 개선추세가 지속됐다.

올해 3월 현재 순자산의 상위 10분위 가구가 
전체 순자산의 43.2%를 차지해 
작년(43.3%)보다 0.1% 포인트 낮아졌다. 
순자산 지니계수는 작년보다 0.002 하락한
0.592로 나타났다.(지니계수는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0(완전평등)과
1(완전불평등)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

기획재정부는 “정부 정책에 의한 소득분배
개선효과가 확대되고 있다”며 “복지투자를 확대하고
연금제도 보완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겠다”며
“현 상황에서 가계부채 리스크는 제한적이나
잠재적 위험요인 관리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자금시장과, 통계청 복지통계과



첨부파일
  • 참고자료 한글문서 다운로드 참고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참고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