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1일 토요일

장마 뒤 고개 내민 ‘야생독버섯’ 주의하세요.

장마 뒤 고개 내민
‘야생독버섯’ 주의하세요.

○ 도 농기원, 장마․고온으로
    버섯 다량 발생… 독버섯 주의해야
- 독버섯 종류 및 증상,
   중독사고 시 대처 요령 조언
○ “식용버섯과 구분 어렵고,
     중독 시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야생버섯 채집과
섭취를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31일 도 농기원은 최근 장마와
고온이 지속되면서 야생버섯이
다량 발생하고 있으며, 식용버섯과
구별이 어려운 독버섯이 있어
야생버섯 채집과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 농기원에 따르면 독버섯에 의한
중독 및 인명피해 사고는 매년 끊이지 않고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2005~2009년
모두 19건의 독버섯 중독이 발생해
5명이 숨졌고, 2010~2014년에는
총 36건의 중독사고로 13명이 사망했다.
우리나라에서 독버섯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버섯류는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등이다.
이 버섯들은 아마톡신류(Amatoxins)
독소를 가진 버섯들로 출혈성 위염,
급성신부전 및 간부전을 초래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특히 독버섯과 식용버섯은 구분이 어려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독이 있는 화경버섯은 느타리버섯과 비슷하고,
붉은싸리버섯은 식용버섯인 싸리버섯과
착각하기 쉽다.
식용버섯인 먹물버섯과 독버섯인
두엄먹물버섯, 식용버섯인 개암버섯과 독
버섯인 노란다발버섯,
약용버섯인 영지버섯과 독버섯인
사슴뿔버섯은 모양이 거의 흡사해
일반인들은 오인하기 쉽다.
야생버섯을 먹고 30분 후 어지러움,
메스꺼움,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도 농기원 관계자는 “즐거운 휴가철에
야생버섯 섭취로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재차 당부했다.

담 당 자 : 김정한(전화 : 031-229-6126)

문의(담당부서) : 버섯연구소
연락처 : 031-229-6126
입력일 : 2015-07-30 오후 5:27:31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