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1일 월요일

해상 유해화학물질사고 전용 方除艇(방제정) 2017년 첫 도입

해상 유해화학물질사고 
전용 방제정 2017년 첫 도입

          기획재정부    등록일    2015-05-11



해상 유해화학물질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전용 방제정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된다.

기획재정부와 국민안전처는
11일 "설계비 5억원, 건조비 95억원 등
총 100억원을 들여 유해화학물질(HNS)사고
 발생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전용 방제선박 도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HNS는 불산ㆍ암모니아 등 유해액체물질,
LNGㆍLPG 등 액화가스, 석회석, 비료 등
고체 위험물 등을 말한다.

HNS가 국내 해상을 오가는 물량은
연간 2억5100만톤으로 최근 10년간
약 66%나 급증하는 등 잠재적인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국민안전처와 협의해
국내 해상 환경에 적합한 HNS 전용
방제정을 건조하기로 했다.
올해 설계에 들어가 오는 2017년 완공할
예정이다. 

300톤급으로 건조되는 HNS 전용 방제정은
유증기나 독성가스 등으로 뒤덮인 사고
현장에서도 방제 작업이 가능하다.

전용 방제정은 완공 후 국내에서
유해화학물질 물동량이 가장 많은
울산항에 배치될 계획이다.

기재부는 "육상의 화학사고 대응기관과
전문 인력 및 시스템을 공유하는 등
HNS 전용 방제정을 활용한 화학사고
공동대응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의. 기획재정부 예산실 안전예산과(044-215-8661)



첨부파일
  • 보도자료 한글문서 다운로드 보도자료 한글문서 바로보기 보도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