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3일 월요일

이젠 지방세외수입도 현금입출금기, 인터넷으로 납부

이젠 지방세외수입도 
현금입출금기, 
인터넷으로 납부

- 수수료 없이 
  신용카드 및 
  신용카드 포인트로 납부 가능한 
 「간단e납부」 서비스 확대 -

                 안전행정부    등록일  2014-01-13




앞으로는 대부분의 지방세외수입과 
환경개선부담금을 고지서 없이도 
전국의 가까운 은행 현금자동
입출금기(CD/ATM)이나 인터넷에서도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게 된다.

안전행정부(장관 유정복)는 
전국 지방자치단체(244개), 
국내 은행(22개) 및 신용카드사(14개) 
그리고 금융결제원 등과 협업을 통해 
14일부터  「간단e납부」서비스를 
지방세에 이어 1,750여개의 
지방세외수입과 환경개선부담금까지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납부고지서가 
없어도 통장, 신용(현금)카드만 있으면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에서 
조회·납부가 가능해졌다. 
지금까지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은 납부고지서를 가지고 
은행 창구나 공과금수납기에서 납부해야 
했었다.

또한, 앞으로는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전국 모든 은행에서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외수입과 환경개선부담금을 
납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거주 지역별로 납부 가능한 
은행이 정해져 있어 다른 지역의 
지방세외수입, 환경개선부담금을 
내는 것이 불편했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만 
제공되던 신용카드 납부, 인터넷 
납부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지방자치단체별 납부 서비스 편차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제는 국내 모든 신용카드를 
사용하여 수수료없이 납부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신용카드에 적립된 포인트로도 
납부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위택스(http://www.wetax.go.kr), 
은행 인터넷뱅킹, 인터넷 지로 등을 
통해서 전국 지방세외수입 및 
환경개선부담금을 조회해 납부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지방세외수입 중 
아직  「간단e납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주·정차위반 과태료, 
교통유발부담금, 상·하수도요금과 
건설 인허가 관련 부담금도 
내년까지 서비스가 확대된다. 
이렇게 되면 모든 지방세외수입을 
「간단e납부」 서비스를 이용해 
조회·납부할 수 있게 된다.

이주석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이번 「간단e납부」 서비스 확대는 
정부3.0 실현을 위한 민·관 협업을 
추진한 결과로, 이제 생업에 바쁜 
국민들이 각종 공과금을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게 되어 그간의 납부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이라며,

더불어 “내년까지 
「간단e납부」 서비스를 
주·정차위반 과태료, 교통유발부담금, 
상·하수도요금, 건설 인허가 관련 
부담금까지 확대하는 등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담당 : 지방세분석과 정유근(02-2100-5985)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