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월 10일 수요일

경기도농업기술원, 과수화상병 확산 막기 위해 주의 사항 당부

불에 탄 듯 과일나무 말려 죽이는
화상병 ‘주의’

○ 도 농기원, 과수화상병 확산 막기 위해
    주의 사항 당부
- 지난해 경기도에 전국 최초로 발생
○ 화상병 예방 위해 전지 전정시 소독 철저,
    과수원 청결히 관리 중요
○ 배, 사과 꽃 피기 전 적기에
    화상병 동제약제 살포해야 피해 최소화
○ 2월 15일부터 도내 배, 사과
    주산 10개 시군서 특별 교육 실시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은
식물방역법상 금지병해충인 과수 화상병이
작년에 전국 최초로 경기도에 발생함에 따라
올해 확산을 막기 위해 주의 사항을 당부했다.
10일 도 농기원에 따르면 세균으로 옮기는
화상병은 배와 사과나무의 잎과 꽃, 과일은 물론
가지와 줄기까지 마치 불에 그슬린 것처럼
조직이 검게 변하면서 말라죽게 하는
무서운 병이다.
화상병이 발생하면
발생과수원 및 반경 100m 이내의 배, 사과나무는
뿌리까지 캐내 폐기해야 하고
발병지역은 5년 이내에 배와 사과를 심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작년 전국 3개 시군에서 43농가 43ha에서
화상병이 발생하여 발생과수원 및 주위 100m 배,
사과 과수원을 폐원했다.
경기도 안성에서는 화상병 발생지 및
인근 100m 지역 44농가 55개 과수원의 배,
사과나무 38ha 1만6,157주를 매몰하는
피해를 입었다.
도 농기원은 화상병을 예방하려면
과수원을 청결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월동기 전지 전정(가지치기) 작업 시
과수원에서 사용하는 모든 농기구(전정가위,
사다리 등)와 장갑, 모자 등 농작업 도구는
200ppm 이상의 차아염소산나트륨(판매용
락스를 4~20배 희석) 또는 70% 이상의
알코올로 소독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전지 전정 작업 시 다른 나무로
이동할 때마다 스프레이로 분무 살포 소독을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3월 말~4월 초 꽃피기 전에 배,
사과 화상병에 등록된 동제화합물로
약제방제를 할 것을 당부했다.


화상병 방제를 위해 살포 시기가 중요한데,
배나무는 석회유황합제 살포 7일 후에
배나무꽃눈 비늘잎(인편)이 탈락하기 전에,
사과나무는 4월 초 신초가 발아할 때 살포해야한다.
친환경 재배농가는 동제화합물 살포시기에
석회유황합제 또는 보르도액으로 1회 살포하면 된다.
화상병 발생지역에서는 추가로
개화기에 항생제 계통으로 2회 방제한다.
이와 관련, 도 농기원은 2월 15일부터
농촌진흥청과 함께 도내 10개 배‧ 사과
주산 시군에서 14회에 걸쳐 화상병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관리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배, 사과 재배농가 및 전정사 등
과수원 작업자에게 과수원 작업 준수사항,
약제방제 요령, 시기 등을 교육한다.
교육일정 및 장소는 경기도농업기술원 또는
가까운 시군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문의(담당부서) : 기술보급과
연락처 : 031-229-5863
입력일 : 2016-02-05 오후 7:38:54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